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켈트 전사는 꽃힌 화살을 뽑고 완치되었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4. 16.
반응형

대략 2,500년 전 한 켈트 전사가 전투에서 부상당했다.

고고학자들은 그의 유골 3D 스캔을 통해 그 부상을 초래한 무기가 무엇인지 확인하는 한편, 그로 인한 상처를 세심히 치료받아 완치됐다는 결과치까지 얻어낸다.  
 

검은색 배경에 해부학적 자세로 배치된 인간 유골. 두개골, 손발이 없는 상태다.남독일 켈트족 고분에서 발견된 유골 일부. 이 사람은 골반에 화살촉 부상을 입었지만 살아남았다. (이미지 출처: M. Francken / 튀빙겐 대학교)

 
2월 23일 국제 골고고학 저널(International Journal of Osteoarchaeology)에 온라인으로 발표된 새로운 연구에서 연구진은 골반pelvis에 심각한 외상severe trauma을 발견한 철기 시대 고분에서 발견된 한 유골을 분석했다.

30세 내지 50세 어간을 산 이 남성은 어떤 투사체projectile에 맞은 것으로 보인다.

이 유골은 수십 년 전 독일 남부 호이네부르크(Heuneburg) 선사 시대 언덕 요새 유적의 큰 무덤 아래 중앙 매장지에서 발견되었다.

무덤은 지름 약 43미터(140피트), 높이는 약 3미터(10피트)였다.

고대 도굴꾼들이 이곳을 습격했기 때문에 매장지에서 유물이 발견은 제한적이었지만, 고고학자들은 전차 조각, 금속 허리띠, 보석류를 발견하여 매장지 연대를 기원전 530년에서 520년으로 추정했다.

연구진은 상처가 남성의 왼쪽 좌골(때로는 "좌골"이라고도 불리는 골반 일부) 고관절 근처에 위치했다고 밝혔다.

상처가 뼈를 통과하는 방향을 바탕으로 연구진은 남성이 달리거나, 앉아 있거나, 승마를 하던 중 왼쪽 앞부분에서 골반을 가격당했다고 결론지었다.

 

화살에 맞아 부상을 입은 켈트 전사의 왼쪽 엉덩이뼈를 촬영한 두 장 사진. (출처: C. Röding과 H. Rathmann / 튀빙겐 대학교)



뼈나 무덤에서 무기가 발견되지는 않았지만, 연구진은 3D CT 스캔을 통해 상처 부위에 음각 흔적negative imprint of the wound을 남길 수 있는 방법을 통해 무기의 정체를 밝혀냈다. 

흔적의 전체적인 모양과 크기는 작은 화살촉이 남성 골반에 외상을 입힌 것으로 추정됐다.

당시 고고학적으로 알려진 무기들을 바탕으로 볼 때, 전투에 사용된 마름모꼴 촉을 가진 긴 화살촉long arrowhead with a diamond-shaped tip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좌골에 구멍이 완전히 뚫리지 않은 것으로 보아 화살촉이 뽑혔을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상처가 아물었다는 것은 화살촉이 전문적으로 제거되었고 상처 부위에 적절한 치료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초기 철기 시대 의료 기록은 남아 있지 않다.

그러나 남성 골반의 상처 부위를 확장하여 화살을 제거해야 했다는 증거를 바탕으로, 연구진은 당시 의료진이 부상 치료에 특수 도구를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한다.

연구진은 화살이 제거된 후 이 남성이 회복하는 데 몇 주가 걸렸을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이는 부상자가 생계를 위한 일상적인 육체 노동에서 면제된 사회 계층에 속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라고 연구진은 덧붙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지역 의회 산하 기념물 보존국 State Office for the Preservation of Monuments in the Stuttgart Regional Council 골학자이자 연구 제1저자인 미하헬 프랑켄Michael Francken은 상처의 매끄러운 가장자리가 이 남성이 사망하기 최소 몇 달 전에 발생한 것으로 보이지만, "안타깝게도 이 남성의 사망과 부상 사이에 연관성이 있는지는 알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이 남성이 부상 당한 전투의 정확한 성격 또한 알려지지 않았다.

철기 시대 사람들은 전투에 대한 기록을 남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남성이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연구진은 그가 상류 사회 계층에 속했으며, 사망 시 거대한 무덤에 "왕자처럼 장례"를 치르는 영예를 누렸을 것으로 추정한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