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금과 보석을 측정하는 데 사용하는 캐럿carat이라는 말은 카롭carob 씨앗에서 비롯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카롭 씨앗 무게가 약 0.20g으로 일정하게 유지되어 귀금속 무게를 측정하는 데 이상적임을 알고 있었다.

이 말은 그리스어 kerátion에서 아랍어 qīrāṭ, 그리고 나중에 이탈리아어 carato로 발전하여 15세기경 영어에서 carat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24캐럿 금화를 마주친다는 것은 이 고대 씨앗에서 유래한 측정 단위를 의미하며, 언어, 역사, 그리고 상업 사이의 흥미로운 연관성을 보여준다.
결국 도량형 아니겠는가?
얼마나 속임이 많았으면 저랬겠는가?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핑크스 기념사진 말고는 빈손으로 귀환한 이케다 사절단 (1) | 2025.04.25 |
---|---|
영국 원주민 켈트족은 스페인 이주민 (1) | 2025.04.25 |
발굴 한 방으로 허망하게 막 내린 모아이 신화 (0) | 2025.04.25 |
크로마뇽인의 탄생, 인류 역사를 바꾸다 (2) | 2025.04.24 |
해부학, 예술, 그리고 죽음의 그림자 – 전에 없던 태아를 세상에 보여준 두 남자 이야기 (0) | 2025.04.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