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428년, 세종대왕과 조선 사회를 큰 충격에 빠뜨린 사건이 일어난다.
김화라는 사람이 자기 아버지를 죽이는 사건이 발생한 것이다.
세종은 김화에게 큰 벌을 내리고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백성들을 교육하기 위해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를 편찬하라는 명을 내린다.
세종의 명을 받아 집현전 학사들이 중국과 우리나라의 여러 책에서 효자, 충신, 열녀 각 110명을 선정했다.
1434년, 이들의 행적을 칭송하는 글과 글의 내용을 그림으로 그려 넣은 한문본 삼강행실도가 완성된다.
1490년, 성종 시대에 효자, 충신, 열녀 각 35명을 다시 가려 뽑고, 그 이야기를 우리말로 번역한 삼강행실도언해三綱行實圖諺解가 간행되었다.
삼강행실도언해는 1490년 처음 책을 만든 이후 여러 차례 반복해 간행되어, 각지에서 널리 읽혔다.
우리말로 옮긴 삼강행실도언해를 펴냄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유교의 중요 덕목인 효, 충, 열 이야기를 쉽게 읽을 수 있었다.
국립한글박물관 소장자료 삼강행실도언해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아래 참조
https://www.hangeul.go.kr/webzine/202505/sub1_3.html
이상 국립한글박물관 소개를 약간만 손보아 전재한다.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주 퀸즈랜드 7천년 전 주먹도끼 (1) | 2025.05.10 |
---|---|
에드워드 기번, 로마의 폐허에서 대작을 구상하다 (1) | 2025.05.10 |
판돌로 두른 바이킹 전사의 무덤 (0) | 2025.05.10 |
[위만조선論] (2) 남월南越, 한漢을 물로 보는 흉노의 남익南翼 (1) | 2025.05.08 |
[위만조선論] (1) 한을 포위한 흉노 제국, 그 좌익과 우익 (0) | 2025.05.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