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청자 생산지로 저명한 전남 강진 청자도요지 사당리 제10호 가마터에서 고려 후기 청자가마와 자기소 운영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는 기와건물터가 확인됐다고.
2019년 이래 강진군 의뢰로 이 일대 가마 유적을 연차 발굴 중인 민족문화유산연구원은 올해 ‘강진 고려청자요지(사당리) 5차 발굴조사’를 벌인 결과 고려 후기에 운영된 가마와 그 폐기장, 그리고 이 일대 청자 생산 과정과 관련한 기와건물지 4개소를 확인했다고 25일 말했다.
특히 기와 건물 확인은 고려청자 제작이 관영 수공업 체제로 운영된 일단을 엿보게 하는 자료로 평가된다.
강진 대구면에 분포하는 188개소 고려청자 가마터 중 이번 5차 발굴이 대상으로 삼은 사당리 10호는 그간 지표조사를 통해 고려 후기에 운영됐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 그 구체적인 양상을 알 수 없었다.
하지만 이번 발굴을 통해 이 가마가 고려 후기까지 운영된 사실을 확인하는 한편, 같이 드러난 고려 후기 기와건물지를 통해 강진 고려청자 생산 운영체제가 14세기까지 400년간 지속됐음을 입증하게 됐다고 조사단은 평가했다.
10호 가마는 그릇을 넣어 굽는 공간인 번조실이 천장이 남아 있을 정도로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드러났다. 불을 때는 연소실과 그 앞 요전부窯前部는 굽는 그릇 받침대인 도침陶枕을 재활용해 만든 특징이 드러났다.
이곳 생산 청자는 발, 접시, 고족배, 잔, 잔탁, 개, 호, 병, 장고 등 다양하다. 갑발을 사용한 양질청자와 포개구이한 조질청자가 함께 생산된 것으로 드러났다.
폐기장에서 명문청자가 확인되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할 때 14세기 중반 이후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고 조사단은 말했다.
기와건물지는 모두 4개 동이 드러났다. 구조로 보건대 두 차례 이상 증축이 있었고, 부속시설로 출입시설, 담장, 배수로 등이 확인됐다. 건물을 만들기 위한 대지층에서는 12~13세기 청자가 주로 확인돼 중심 운영 시기는 13세기 이후로 파악된다.
한편, 가장 늦은 시기 건물 퇴적층에서는 사당리 10호 청자가마와 폐기장에서 출토되는 유물과 동일한 14세기 청자와 간지명인 임신壬申(1332년)명 청자 등이 출토됐다. 따라서 건물들은 13세기에서부터 사당리 10호 청자가마가 운영된 14세기까지 두 차례 이상의 증축을 거치며 운영된 것으로 본다.
2019년 1차·2차 조사에서는 국내 최초로 청자 초벌품을 전문 생산한 타원형 벽돌 가마인 일명 만두료와 ‘청자선별장’을 확인한 데 이어 3차·4차 조사에서는 고려시대 청자 생산을 총괄한 대구소大口所의 치소治所를 발견했다.
***
상세한 자료를 입수하는 대로 자세한 소식을 전하고자 한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집트에 부는 K-방산 열풍 by 유성환 (0) | 2023.05.29 |
---|---|
강진 사당리 10호 고려청자 가마터 상보 (0) | 2023.05.26 |
사진으로 만나는 국립중앙박물관 ‘영원한 여정, 특별한 동행’ 특별전 주요 출품작 (0) | 2023.05.25 |
National Museum of Korea to Exhibit Ancient Earthen Vessels and Figurines ‘Compa (0) | 2023.05.25 |
강원대 중앙박물관 박물관대학 포문 연 인더스 신동훈 (0) | 2023.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