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강진 사당리 10호 고려청자 가마터 상보

by taeshik.kim 2023. 5. 26.
반응형

앞서 이 소식을 아래와 같이 전했으니, 다만 도판이 거의 없어 아쉬움을 남겼으니, 연구원 통해 그것들을 입수하여 공유한다. 

 
강진 청자 14세기까지 400년간 생산 입증하는 증거 나오다
 

강진 청자 14세기까지 400년간 생산 입증하는 증거 나오다

고려청자 생산지로 저명한 전남 강진 청자도요지 사당리 제10호 가마터에서 고려 후기 청자가마와 자기소 운영과 관련된 것으로 추정하는 기와건물터가 확인됐다고. 2019년 이래 강진군 의뢰로

historylibrary.net

 
 
아울러 이번 발굴성과에 대한 강진군과 민족문화유산연구원 발표는 이렇다. 나로서는 도침을 재활용한 가마 구조가 이채롭게 보인다. 

 
강진 사당리 10호 고려청자 요지에서 
고려 후기 청자가마와 자기소 관련 기와건물지 최초 발굴
-  05.25. 오후 2시 현장설명회 - 
 

강진 사당리 10호 청자 가마와 폐기장 전경

 
문화재청(청장 최응천)의 허가를 받아 강진군(군수 강진원)이 발주하고 (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원장 권혁주)이 조사한 ‘강진 고려청자요지(사당리) 발굴조사(5차)’ 현장 공개 설명회를 25일 오후 2시 강진 고려청자박물관 시청각실과 발굴조사 현장에서 개최한다.  

  * 현장설명회: 강진 고려청자박물관 시청각실
  * 현장공개: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236번지 일원 
  
문화재청과 강진군은 ‘강진 고려청자 요지’를 체계적으로 정비하고 보존하기 위해 2019년부터 연차적으로 발굴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2019년 1차·2차 발굴조사에서는 국내 최초로 초벌품을 전문 생산한 ‘타원형의 벽돌 가마(일명 만두형 가마)’와 ‘고려청자 선별장’이 확인되어 학계의 주목을 받았으며, 3차·4차 발굴조사에서는 고려시대 청자 생산을 총괄한 대구소(大口所)의 치소(治所)가 조사되어 고려시대 최고급 청자 생산의 비밀을 밝힐 단초를 마련하게 되었다는 평가를 이끈 바 있다.

  * 대구소(大口所): 고려시대 청자의 제작은 관영(官營) 수공업 체제로 강진의 대구소(大口所)에서 생산하여 중앙에 공납되는 시스템으로 이해되고 있다. 
  * 치소(治所): 지방 관리의 관공서가 있던 곳.
 

가마 번조실의 천장부 잔존모습.
도침을 재활용한 가마의 연소실. 단, 연소실인지 요전부인지 아직 불분명다고. 곡선이 있어 요전부 가능성이 더 높은 것 같기도 해서 추가 조사를 해야 한다고.
바로 앞 사진 세부




이번 5차 발굴조사는 강진 대구면에 분포하는 188개소의 고려청자 요지 중 사당리 10호를 대상으로 하였다. 사당리 10호는 그동안 지표조사를 통해 고려 후기 운영되었을 것이라는 추측만 있을 뿐 그 실체는 알 수 없었다. 이번 발굴조사를 통하여 고려 후기에 운영된 가마와 폐기장, 그리고 청자 생산 과정을 감독하였던 기와건물지가 남아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이번 발굴조사에서는 그동안 알려지지 않은 고려 후기 고려청자의 생산시설이 최초로 발견되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더불어 고려 후기 기와건물지의 확인은 강진 고려청자 생산 운영체제가 14세기까지 400년간 지속되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는 이번 발굴조사의 가장 큰 성과로 평가된다. 
 

가마와 폐기장 출토 청자
가마와 폐기장 출토 요도구




가마는 번조실의 천장이 남아 있을 정도로 양호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연소실과 요전부는 도침을 재활용하여 축조한 특징이 관찰된다. 생산품은 청자 발, 접시, 고족배, 잔, 잔탁, 개, 호, 병, 장고 등 다양하며, 갑발을 사용한 양질청자와 포개구이한 조질청자가 함께 생산된 것으로 파악된다. 폐기장에서 간지명 청자 등 명문청자가 확인되지 않는다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14세기 중반 이후에 운영된 것으로 추정된다. 

  * 간지명 청자: 고려청자에 간지가 상감되어 있는 청자로 현재까지 1329년(己巳)부터 1355년(乙未)에 해당하는 11개의 간지, 1389년(己巳)으로 추정되는 간지 등 모두 12개의 간지가 확인되었다.
 

기와건물지 전경
2호 담장지
기와건물지 배수로




기와건물지는 4동이 확인되었다. 건물지의 구조상 두 차례 이상의 증축이 이루어졌으며, 부속시설로 출입시설, 담장, 배수로 등이 확인되었다. 건물지 조성을 위한 성토층에서는 12~13세기에 제작된 청자가 주로 확인되어 건물의 중심 운영시기는 13세기 이후인 것으로 파악된다.

한편, 가장 늦은 시기의 건물지 퇴적층에서는 사당리 10호 청자가마와 폐기장에서 출토되는 유물과 동일한 14세기의 청자와 간지명인 임신(壬申, 1332년)명 청자 등이 출토되었다. 이러한 점으로 보아 건물지는 13세기에서부터 사당리 10호 청자가마가 운영된 14세기까지 두 차례 이상의 증축을 거치며 운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기와건물지 출토 청자
기와건물지 출토 간지명(壬申) 청자



이번 현장 공개 설명회에서는 5차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사당리 10호 청자가마와 13~14세기의 건물터 등 유적을 공개하고 출토된 청자들을 전시, 전문가와 지역민들에게 설명할 예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