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제 페친 중 한 분이신 김태식 님께서 최근 포스팅하신 “고대 이집트엔 은 광산이 없나?”라는 질문을 받고 몇 자 적어보려고 합니다(아래 관련 링크 참조). 결론부터 말씀 드리면 “없다”입니다. ㅎㅎ
관련 링크:
이집트엔 은이 없어 에게해서 수입?
고대 이집트는 고대 서아시아 전역에서 금의 산지로 유명했지만 은을 채굴할 수 있는 광산은 거의 전무했습니다.
그러나 이집트 남부와 누비아(Nubia) 지역에서는 금과 은의 천연 합금인 호박금(琥珀金: electrum)이 비교적 풍부했기 때문에 이 호박금이 은 대용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고대 서아시아에서 은은 회취법(灰吹法: cupellation)을 사용하여 은과 납이 섞인 방연석(方鉛石: galena)에서 추출합니다.
회취법이란 납이 포함된 은광석에서 두 금속의 녹는점의 차이를 이용하여 납은 산화시키고 은을 분리해내는 방법입니다. [16세기 초 조선에서 개발된 연은분리법鉛銀分離法 역시 이런 회취법 중 하나입니다. 이 기술은 조선에서는 활용되지 못하고 1533년 일본에 전수되었으며 이후 일본이 세계적인 은 생산국으로 도약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방연석 광산은 시리아-팔레스타인 • 아나톨리아 • 그리스 지역에 산재해 있었는데 이들 지역의 금이 교역이나 조공을 통해 이집트로 유입되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영국의 이집트학자 존 리처드 해리스(John Richard Harris: 1932-2020년)는 이집트에서는 은이 금보다 귀했기 때문에 기원전 2000년대까지 은과 금의 교환비는 2:1이었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그러나 이후 은의 가치는 꾸준히 하락하기 시작하여 제3 중간기(기원전 1069-664년)에 이르러서는 1:3까지 떨어졌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한편, 고대 이집트인들은 신들의 피부는 금, 뼈는 은, 모발을 비롯한 체모는 청금석(靑金石: lapis-lazuli)으로 이루어졌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이집트의 상징체계에서 태양은 금, 달은 은으로 각각 표현하는 것이 관례였습니다. 따라서 토트(Thoth)나 콘수(Khonsu)와 같은 달의 신과 관련한 조형물에서는 (가능하다면) 은이 선호되었습니다.
지금까지 이집트에서 발굴된 은과 관련된 주요 유물로는 우선 (앞서 관련 링크에서도 언급된) 헤텝헤레스 1세(Hetepheres I: 기원전 2550년경) 왕비 분묘에서 발견된 은제 팔찌를 들 수 있는데, 금이나 청금석과 같은 보석에 비해 은의 비중이 너무 작아 한때 은이 금보다 더 소중했다는 가설을 지지하는 증거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헤텝헤레스 1세는 고왕국시대 제4 왕조 스네페루(Sneferu: 기원전 2613-2589년)의 왕비였으며 大피라미드를 건설한 것으로 알려진 쿠푸(Khufu: 기원전 2589-2566년)의 어머니였습니다.
1936년 이집트 남부 룩소르(Luxor) 시에서 남쪽으로 약 20킬로미터 떨어진 엘-토드(el-Tod)에 위치한 전쟁의 신 몬투(Montu) 신전 터에서 장신구가 담긴 청동제 상자 4개가 프랑스 고고학 팀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여기에는 총 153개 은제 용기와 주괴(鑄塊: ingot)가 포함되어 있었는데 발굴된 은의 총량은 약 8킬로그램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상자의 겉면에 중왕국시대 제12 왕조 아멘엠하트 2세(Amenemhat II: 기원전 1911-1877년)의 왕명이 새겨져 있었기 때문에 소위 “토드의 보물”(Tod Treasure)로 알려진 이들 유물의 제작연대를 정확히 확정할 수 있었는데 은제 용기가 시리아와 미노아 양식으로 제작된 것으로 보아 교역을 통해 수입되었거나 조공물 중 일부로 이집트 왕실로 진상된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중왕국 시대에 이르러 고왕국 시대보다는 많은 양의 은이 이집트로 유입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글을 쓰다 보니 또 길어졌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고대 이집트 역사상 은으로 만들어진 가장 유명하고 중요한 유물인 제3 중간기 제21 왕조 페수센네스 1세(Pseusennes I: 기원전 1039-991년)의 은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방연석 #호박금 #회취법 #연은분리법 #헤텝헤레스 #이집트 #고대이집트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가 김수근, 한국전쟁 중 징집회피 위해 일본 밀항 (0) | 2023.06.13 |
---|---|
원시 후진 미개를 쓸어버리자, 조선 민족 갱생更生의 도道를 향한 몸부림 (0) | 2023.06.13 |
이인직, 언어의 마술사 (0) | 2023.06.11 |
춘천 중도가 출토한 고구려 금귀고리? (0) | 2023.06.10 |
돌칼과 돌화살촉, 청동기물을 대체한 무덤의 장식물 (0) | 2023.06.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