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나이 든 연구자들이 기여할 수 있는 가장 훌륭한 일은
필자가 보기엔 책이나 학술지 편집이다.
이것이야말로 오랜 식견이 축적되어 농익은 오래된 연구자들에게 지금보다 더 많이 오픈되어야 하며
특히 학술지 심사-.
필자는 젊은 연구자들보다는 나이든 연구자들이 수행해주는 편이 더 낫다고 생각한다.
젊은 연구자들은 새로운 것을 생산해 내야지
학술지를 젊어서부터 편집에 시간을 쏟는 것은 그 당사자에겐 대단한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라
젊은이들에게는 적당한 작업이 아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학술지 논문 심사는 해 줄 사람이 없어 몇몇 헌신적 연구자rk
자기 시간을 때려 부으며 심사하고 있는 경우가 다반사인데,
이러한 학술지 논문심사를 많이 하지 않는 이유?
당연하다. 익명 심사라 자기 시간만 쓰게 되고
자기 이름 하나 기억되기 어려우니 정작 자신에게 남는 것이 아무것도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런 일이야말로 나이 든 연구자들 역량이 돋보이는 작업이라,
나이 든 연구자들에게 학술지 편집과 논문 심사는 지금보다 더 많이 맡겨져야 하고,
노령의 연구자 분들도 그 경험을 이용하여 마지막 학계에 봉사를 할 수 있는 작업이 바로
학술지 편집과 심사 작업이 아닐까 생각해 본다.
해외 학회를 보면 연단에 서는 발표자는 나이 많은 사람들은 거의 없지만
학술지 편집과 심사에는 바글바글 많이 볼수 있는 경우가 많다
이 일이야말로 젊은 학자들의 일은 아니라는 생각을 해 본다.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이가 들면 오는 변화 (0) | 2025.07.13 |
---|---|
학계 업무의 나이에 따른 분담 (0) | 2025.07.13 |
학회가 같은 이야기만 반복하는 이유 (0) | 2025.07.13 |
[연구소식] 조선시대 검안 문서에 대한 법의학적 분석: 일곱번째 논문 (0) | 2025.07.03 |
쇄미록이 전하는 나라 꼬라지 (0) | 2025.07.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