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산은 그 아들들에게
무슨 수를 써서라도 서울 근처에 남아라, 라고 했다던가.
이는 다산의 시대에 경화사족들이 모여사는 서울을 떠나게 되면
영영 제대로 된 양반으로 남기 힘든다는 현실에서 비롯된 고언일 것이다.
지방사족들은 반대로
18-19세기가 되면 몇몇 예외적 존재를 빼고는 죄다 개털이 되어
문반의 경우 급제를 하더라도 하급지위를 맴돌거나
대대로 문반의 지위를 누리던 이들도 간신히 무반 자리하나 얻어차고 양반 자리를 얻은 자가 많아졌으니
노상추일기 등에 나오는 영남소외론 등은 사실 영남만이 문제가 아니라
당시 지방 사족들은 죄다 개털이 되었다는 점에서 별 차이가 없었다고 해도 좋겠다.
지방사족들의 경우 서자는 물론 적자라도 대대로 벼슬이 끊어져 버린 집안들이 점점 늘게 되었는데
이들이 순순히 3대 벼슬 끊어졌다고 나는 양반이 더 이상 아니요,
이렇게 이야기 했다면 천만의 말씀이다.
심지어는 소작을 붙여도 양반으로 남는 최후의 보루
호적에는 죽어도 유학으로 남고자 발악에 가까운 노력을 했으니
필자는 17-19세기 호적과 족보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이미 6-7대씩 벼슬이 끊어진 집안도 호적에는 유학으로 잘도 남아 있는 모습을 여럿 확인했다.
이러한 집안은 필자가 보기엔 아마 소작농에 준한 상태로 떨어진 집안도 있었을 것으로 보며,
이들은 경제적으로는 소작농이지만 정신적으로는 그래도 우리는 양반이라는 생각을 하며 버텼을 것으로 보건대,
아마도 19세기 우리나라 향촌은 이런 양반 같지 않은 양반들과
이전에는 양반이 아니었다가 양반을 칭하게 된 신흥 양반 (가짜양반)들이 뒤섞여
물끓듯 하는 상황이었음이 틀림없다.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사 연구의 찬란한 금자탑: 쇄미록 (1) | 2025.08.24 |
---|---|
닭과 꿩의 생물분류학적 거리 (1) | 2025.08.24 |
닭과 꿩: 조선시대의 경우 (0) | 2025.08.24 |
김득신 "파적도"와 쇄미록 (1) | 2025.08.24 |
조선의 말: 선입견과 실제 모습 (0) | 2025.08.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