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나라 각 문중은 어떤 조상에서
계속 자손들이 번창해서 커지는 형태로 발전한 것이 아니다.
이건 대개 몸집이 아주 큰 문중일 수록 이런 경우가 많은데
문중이 덩치를 키울 때 우리는
족보를 산 사람들이 수단할 때 이름을 새로 넣어 그렇다고 생각하지만
그것보다 더 큰 기여를 하는 게
원래 서로 별개의 문중이었던 사람들이 우리는 공통 조상으로부터 분지했다고 합의하고
어느날 갑자기 같은 문중 우산 아래로 모이는 것이다.
우리나라 지금 수십만 씩 문중 사람들을 거느린 경우
대개 이렇게 여러 개 같은 성 문중이 동일 조상으로부터 갈려나갔다고 생각하고
한 문중의 별개의 파로 새로 정의하고 세계도를 만들면서 이루어지는 것 같다.
필자가 아는 어떤 문중도 그런데
여기도 한 번 문중 사람 숫자가 늘어나는 양상을 보면
원래 분적한 집안이 다시 원대 복귀하는 형식을 취하면서
수천 수만이 한꺼번에 들어오는 것을 본다.
우리나라 대종중의 형성과정은 역사적으로 한번 제대로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반응형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족보에서 진실을 구분하는 법 (1) | 2025.09.28 |
---|---|
대책없는 인더스 문자 (0) | 2025.09.28 |
DPAA : 미국 국방부 전쟁포로/실종자 확인국 (0) | 2025.09.28 |
공자와 맹자의 사대부: 씨가 있는 것이 아니다 (0) | 2025.09.26 |
양반과 민중 코스프레의 조선후기사 (0) | 2025.09.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