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여 능안골 고분군에서 백제 귀족층 무덤과 매장행위 확인 - 굴식돌방무덤에서 최초 매장행위 이후 파묘(破墓) 혹은 이장(移葬) 행위 확인 - |
문화재청(청장 김종진)은 부여군(군수 권한대행 한영배)과 함께 ‘백제왕도 핵심유적 보존·관리사업’으로 '부여 능안골 고분군(사적 제420호)‘에 대한 정밀발굴조사 결과, 백제 시대 귀족층의 무덤과 매장행위를 확인했다.
* 발굴현장: 충남 부여군 부여읍 능산리 75-10 일원
조사지역
‘부여 능안골고분군’은 백제 시대 귀족의 집단묘 성격의 고분군으로,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1995년과 1996년 두 차례에 걸쳐 긴급 발굴조사를 시행해 은제관모장식과 금동제이식 등 다양한 유물을 출토한 바 있는 곳이다. 올해에는 당시 조사되지 않은 북서편 지역에 대해 백제고도문화재단에서 정밀발굴조사를 하였다.
3차 발굴조사 지역 전경
조사 결과, 이곳에서는 총 4기의 백제 시대 굴식돌방무덤이 확인되었다. 먼저 ▲ 1호분은 전체 묘광(墓壙) 길이가 1,270cm, 최대 깊이 420cm의 대형급 무덤이었다. 매장하고 난 후 얼마 지나지 않아 무덤에 사용됐던 석재를 전부 반출했던 것으로 보이며, 정확히 무덤방의 입구까지 뚫어서 석재들을 빼낸 후 무덤 구덩이를 일시에 다시 메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상태를 볼 때 당시에 파묘(破墓) 혹은 이장(移葬) 등의 행위가 이뤄졌던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1996년에 시행한 발굴조사에도 파묘된 사례(부여 능안골 18호분‧20호분‧33호분‧50호분)를 확인한 바 있지만, 무덤 내부에 사용된 석재를 바닥면까지 모두 반출한 사례는 이번이 처음이다.
* 묘광(墓壙): 무덤을 만들기 위해 땅을 파 놓은 자리
* 파묘(破墓) : 옮기거나 고쳐 묻기 위하여 무덤을 파냄
* 이장(移葬) : 무덤을 옮겨 씀
능안골 3호분
▲ 2호분 역시 굴식돌방무덤이다. 전체 묘광 길이가 364cm, 너비 193cm, 잔존깊이 155cm로 능안골고분군 내에서 전형적인 단면 육각형 무덤 형태이다. ▲ 3호분의 단면 사각형 띠는 굴식돌방무덤으로, 전체 묘광 길이가 285cm, 너비 113cm, 깊이 88cm로 능안골 고분군 내에서는 규모가 작은 편이다. 내부에서 관정과 꽃 모양 장식이 부착된 관고리 1점이 나왔는데, 이러한 출토유물과 돌을 다듬은 형태 등을 보아 상당한 위계를 가진 귀족층 무덤으로 보인다. ▲ 4호분은 소형 깬돌을 반원형으로 돌려 무덤의 범위를 설정하였으며, 매장주체부로 추정되는 방형의 윤곽선과 뚜껑돌 일부가 확인되었다. 앞으로 추가 조사가 진행될 예정이다.
* 무덤방 크기: 2호분(길이 240cm, 너비 113cm, 높이 120cm)
3호분(길이 85cm, 너비 50cm, 높이 44cm)
능안골 50호분
이번 부여 능안골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를 통해 전형적인 백제 사비기의 귀족층 무덤 양식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1호분의 석재 반출 현상은 당시의 파묘 혹은 이장 행위가 있었음을 알 수 있는 자료로 주목된다. 앞으로 백제 부장문화 연구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3호분 출토 관고리(왼)와 관못
문화재청은 앞으로도 부여군과 함께 부여지역 핵심유적에 대한 실체 규명을 통해 백제의 역사성을 회복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유적의 보존‧관리를 차례로 진행해나갈 것이다.
석실 내부 전경
부여 능안골고분군 3차 발굴조사 2차 학술자문회의 자료집.pdf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재숙 문화재청장 임명에 부쳐 (2) | 2018.08.30 |
---|---|
공주 교촌리 백제 전축분 발굴성과(2018. 6. 7.) (0) | 2018.08.24 |
2018 조계종 사태 일지 (0) | 2018.08.16 |
하남 감일동에서 한성시대 백제 석실분 50기 (0) | 2018.04.22 |
백제 말통대왕, 속살을 드러내다 (1) | 2018.04.1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