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eology 라는 페이스북 지질학 계통 공개 그룹에서 저 나무 화석을 소개하면서 현재까지 발견된 나무 화석으로는 가장 길다 했으니, 길이가 자그마치 70m란다.

그에 관련 자료들을 검출하니, 이 화석이 화석업계에서는 유명한 듯, 태국 북부 도이 소이 말라이 국립공원 Doi Soi Malai National Park에서 발견되어 그곳에 있다 하며
기네스북 Guinness World Records에 가장 긴 나무 화석으로 2022년 7월에 인증되었다고 한다.
공식 길이는 69.7 미터에 지름 1.8 미터.

이런 화석화한 나무를 규화목이라 하거니와, 이건 나무 분류학상 Koompassia malaccensis Maingay ex Benth. tree 라 한다는데,
문제는 우리는 전연 자라지 않는 까닭에 그에 대한 마뜩한 번역어가 없다는 사실이다.

이 나무는 현재 식생대로는 태국 북부에서는 자생하지 않고 우림 지역인 남부랑 말레이반도에서 자란다 하니, 기후가 변한 것이다.
2003년 11월에 발견되고 2년 뒤 발굴됐단다.

본래 보고될 적에는 72.22 미터라 했지만 발굴 현장이 나중에 홍수에 휩쓰리는 바람에 현재 길이로 줄어들었다고 한다.
남은 길이만큼도 건물 20층 높이에 상당한다.
화석 연대는 12만년 정도 됐다고.

이 일대에서는 이것 말고도 이와 비슷한 나무 화석이 7군데서 더 발견됐다 하니, 이것도 조상 잘 만나야 한다.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고고학] 전국戰國 초간楚簡 쏟아낸 호북湖北 형주荆州 진가저 묘지秦家咀墓地[2] 죽간 분류와 내용 (25) | 2024.03.29 |
---|---|
[중국고고학] 전국戰國 초간楚簡 쏟아낸 호북湖北 형주荆州 진가저 묘지秦家咀墓地[1] 개황 (2) | 2024.03.29 |
[무령왕릉의 비밀 결산] 왜 머리는 남쪽에, 부부 위치는 반대? (1) | 2024.03.27 |
[무령왕릉이 봉착한 최대 난제 둘] (4) 미완성으로 끝난 죽음 (21) | 2024.03.27 |
Ladby ship, 무덤방으로 쓴 바이킹선 (1) | 2024.03.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