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소설, 판타지, 거짓말

by 초야잠필 2023. 2. 24.
반응형

소설, 판타지는 문학장르의 하나로 자리잡고 있지만 사실 결국에는 "거짓말"이다. 

픽션이라는 것은 결국 거짓말이고, 있을 법한 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그 있을 법한 일을 만들어 낼 때 있을 법 해 보이기 위해서는 "지금 벌어지고 있는 일"을 데이터로 삼을 수 밖에 없다. 

팩트를 재료로 있을 법한 거짓말을 만들어 내는 것, 그것이 바로 소설 판타지가 아니겠나? 

거짓말이지만 그 거짓말의 창의적 부분을 높게 평가하여 이를 거짓말과는 다른 부분으로 인정할 뿐이다. 

지금 AI는 이 둘 사이의 차이를 아직 잘 학습시키지는 못한 듯하다. 

쉽게 말해서 어디까지가 거짓말이고 무엇이 픽션인가를 잘 구별못하는  것 같다는 것인데. 

예를 들어 근거가 될 만한 말을 2-3 줄 주고, 이 이야기를 확장시켜서 소설을 써 보라고 하면..

이건 한다. 그것도 아주 잘 한다. 소설가들이 옆에 두고 써도 될 만큼 한다. (물론 영어의 경우다) 

그런데 과거 같으면 검색이 안 되면 검색이  안된다고 대답을 해줘야 할 것을 

기어코 팩트에 기반한 사실을 창작해 뭐라도 돌려보내준다. 물론 거짓말이다. 

챗GPT가 이렇게 거짓말을 양산하게 된 것을 제작자가 의도한 것인지는 모르겠다. 

공개 후 일반인의 학습 결과는 아니다. 

어제 AI와 대화한 결과, 지금은 제작자의 업데이트 외에는 불가능하게 설계되어 있다 한다. 

이용자로부터 배우게 할 수도 있는데 (알파고처럼) 그렇게 했다가는 이게 어디로 튈지 몰라 막아놨다고 한다. 

챗GPT 자기 입으로 내게 해 준소리다. 물어 보니까 그렇게 대답하더군. 

제작자로서는 아마도 완전히 자기 학습을 가능하게 했을 때 이것이 어디로 튈지 몰라 일단 자기들만 업뎃 가능하게 묶어 놓은 것 같은데. 

기술이 부족해서 그런 것은 아닌 듯하다. 


소설을 거짓말이 아니라고 하는 주장이 한국문단에 워낙 강해서 기본적으로 우리나라 소설은 재미가 없다. 소설은 거짓말이다. 챗GPT가 소설적 허구와 거짓말을 구별 못하는 것처럼. 결국 요는 창작된 거짓말을 어디에 사용하는가 하는가가 다를 뿐인데, 기본적으로 거짓말이라는 것은 소설의 뼈대에 해당하는 것인데, 소설=거짓말을 부정하고 시작하면 아무리 대단한 이야기를 하더라도 그것은 소설이 될 수 없겠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