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야요이인의 열도 이주는 간단한 사실이 아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열도의 야요이인 정착촌이 초기부터 고도의 도작 농경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나온다는 점.
만약 한반도에서 혼합농경의 일부로 존재하던 도작이
그 순도가 높아지지 않은 상태에서 열도로 건너갔다면
초기에는 한반도 형의 혼합농경이 시도되다가
점점 도작 일변도의 형태로 바뀌는 모양이 간취되어야 할 것이다.
그런데 필자가 아는 한 야요이인 정착촌은 이런 방식으로 전개된 것이 아니라
초기부터 상당한 수준의 도작에 바탕을 두고 시작되었다는 점.
이 말은 결국 한반도 남단에서 야요이인 정착촌과 방불한 촌락의 존재를 찾아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금은 일본 열도로 흘러들어간 도작이 한반도를 거쳐갔다는 것을 부정하는 사람은 없다.
이는 어쨌건 우리나라 고고학도들의 노력으로 증명된 부분이라 할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전부는 아니며,
결국은 야요이인 정착촌과 유사한 형태의 도작 촌락이 한반도 남부에 이미 있었는가,
이것은 도작이 한반도를 거쳐갔는가와는 또 다른 문제라 할 것이다.
*** previous article ***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청동기시대와 야요이 정착촌 디오라마 (36) | 2024.05.27 |
---|---|
예고: 동물에서 식물로 (40) | 2024.05.27 |
하기萩市 (2): 덴노에 대한 일편단심 (42) | 2024.05.25 |
조슈번長州藩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38) | 2024.05.25 |
하기萩市: 메이지유신의 배태지 (1) (39) | 2024.05.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