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 조선 후기에
양반이 군역을 지는 개혁이 완수되었으면
아마 19세기에 모든 사람이 유학으로 끝나는 모습은 보지 않읗 수도 있었을 것이다.
균역법 군포 대상자가 양반 직역까지 올라가지 못하고
양반의 말단- 중인-부농까지 군포를 부과하고 선무군관을 부여하는 정도에 그쳐
결국 군역의 완전한 회피를 위해 양반의 상징인 유학의 모칭이 계속 되었고
이 때문에 19세기 중반에 이르면 모든 사람이 유학을 칭하는 것으로 끝나게 된 것이다.
따지고 보면 양반의 특권이 완전히 종식되지 못한 것이
양반에 대한 모칭을 계속 불러왔다고 할 수 있겠다.
조선후기에 가장 드라마틱한 반응을 보이는 것이 바로 서얼-중인-부농으로 구성된 집단인데
이들은 양반의 말단 내지는 중인, 부농으로 군역을 회피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수단을 다 동원한 것을 알 수 있다.
아예 호적에서 자취를 감추기도 하고,
균역법이 시행되면 선무군관으로 잡혀도 갔다가,
다시 유학을 칭하기도 하고,
족보도 사 모으고,
할 수 있는 모든 방법을 총동원했을 것이다.
이들의 억척같은 생활력은 19세기가 되면 결국 빛을 보게 되니
이 시기에 과거 급제자, 심지어는 대과 급제자 중에도
이러한 유학 모칭자가 많았다는 것은 충분히 간취할 수 있는 일이다.
이들이 전통적인 유림-반가와 결을 달리 했다는 것은
대원군의 서원철폐령 등에서 익히 알 수 있는 바,
전국의 서원을 몽땅 쓸어 없애버리는,
16-17세기 같으면 상상도 못할,
아마도 인조반정 같은 사건을 한 번 더 불러왔을 만한 일이 별 사건 없이 끝났다는 것은
이 시기에 이미 유림의 공론을 기반한 전통적 사족의 지배가 종식되고
당시 사회를 떠받치던 양반들은 이전과 결을 달리하던 사람이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들 중 상당수가 필자가 보기엔, 서얼, 중인, 그리고 양반 모칭자들이라 본다.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 노년의 연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한말의 조선과 검안檢案 서류 (1) | 2025.08.28 |
---|---|
한일 학계가 주목해야 할 야요이 농경의 기원 (1) | 2025.08.28 |
조선시대 호적에 대해 몇 가지 이야기 (보유) (1) | 2025.08.28 |
역사속에 묻혀 버린 서얼 (0) | 2025.08.27 |
대과 응시자도 제대로 안 읽었다는 중용 (1) | 2025.08.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