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요녕성(遼寧省) 강평현(康平縣) 요대(遼代) 거란 귀족묘군(契丹貴族墓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8. 3. 26.
반응형


심양시고고연구소沈陽市文物考古研究所와 강평현문물관리소康平縣文物管理所가 발굴한 유적이다. 이 고분군은 심양시 강평현 사금대향(沙金臺鄉) 장가요림장(張家窯林場) 서쪽 장백산(長白山) 구역에 위치한다. 2015년 12월,심양시문물고고연구소가 도굴 피해를 본 석실묘(石室墓) 1기를 긴급 발굴조사하면서 존재가 드러났다. 


2017년 4~11월, 국가문물국 비준을 거쳐 이 고분군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요나라시대 대형 전실묘(磚室墓·벽돌무덤)와 중소형 석실묘(石室墓) 9기를 발굴했다. 이 중 무덤 한 곳은 결구 상태가 완전하고 도굴 피해를 보지 않은 요나라 시대 전실묘로 드러났으며, 3기 무덤은 수장품 조합이 완벽해 총출토품은 500여 건을 헤아리니, 개중에는 金과 銀을 도금한 면구(面具)와 은사망락(銀絲網絡), 누공 금관(鏤空金冠), 목제 관곽(棺槨) 등의 최고급 유물이 포함된다.  


무덤군은 크게 3개 구역으로 나눌 수 있다. I區가 규모 비교적 크고, 등급이 비교적 높아 가장 중요하다. I區에서는 총 6기 무덤이 발견됐다. 방향은 모두 동남향이다. 3기 대형 전실묘 M2-M4는 모두 계단식 묘도(墓道)와 묘문(墓門), 용도(甬道), 동서 이실(東西耳室), 그리고 주실(主室) 등으로 구성된다. 묘실은 평면 방형과 원형, 그리고 팔각형 등이며, 주실은 직경(邊長)이 모두 4~4.5m 안팎이고, 이실(耳室)은 직경(邊長) 1~1.5m 안팎이다. 


석실묘는 비교적 규모가 작고 모두 단실(單室)이며, 묘실은 평면 방형이라, 변장(邊長)은 2.5m 안팎이다. M3에서는 소량으로 잔존한 벽화 흔적이 발견됐다. 


M2와 M4에는 팔각형 목곽실(木槨室)과 帶邊箱, 棺箱의 棺槨 葬具가 있으며, M2묘 관곽 위에는 鑲嵌한 은편(銀片) 장식이 대량으로 발견됐다. 그 외 고급 거란 貴族의 염장 용구(斂葬用具)가 출토됐으니, 金과 銀을 도금한 金面具 各1 個, 銀絲網絡 3套,鏤空金冠  1個가 있다. 墓葬은 모두 단인장(單人葬)이고, 몸을 펴고 다리를 곧은 앙신직지(仰身直肢)하고,  頭部는 동쪽 방향으로 두었다. M1과 M4 묘주인은 성별로는 남성이고, M3 인골은 초보감정 결과 여성으로 추정된다. 


부장품은 수량과 종류 모두 풍부하다. 陶瓷器、金銀器、玻璃器、玉石器、瑪瑙、琥珀、銅器、鐵器 等 각종 유물 500여 건을 수습했다. M2은 여러 번 도굴되었지만 海獸葡萄鏡、銅盞托、瑪瑙配飾、圍棋子、琥珀吊墜、串珠、綠釉雞冠壺、白釉渣鬥、青瓷碗、白瓷碗 등 50여 건에 이르는 유물을 출토했다. 



M1、M3, 그리고 M4는 부장품 조합과 보존상태가 좋다. M3 출토품으로는 백자계수호白瓷雞冠壺、반구호盤口壺、녹유계퇴단綠釉雞腿壇、백자완白瓷碗 등의 도자기가 있으며, 묘주인 양손에는 은 도금한 金戒指를 10매를 가뜩 낀 상태며,耳部에는 摩竭金耳環을 끼고 좌우 팔둑은 分別 佩戴鎏金銀鐲 各 一個하고, 胸前佩戴瑪瑙項鏈和葵形銀鏡,腰部爲銀鎏金捍腰。西耳室出土整套銅鎏金馬具、蹀躞帶、雙魚配飾和鐵器,도합 출토품은 200여 건이다. M4 出土 陶瓷器는 풍부해 상술한 요나라산 瓷器 외에도 비교적 많은 것으로 北宋 定窯、耀州窯、越窯 그리고 景德鎮窯 等의 窯口 瓷器가 있으며,器形으로는 白瓷小蓋罐(4套),蓮花紋執壺、青瓷碗、青瓷盤、影青器蓋 등이 있다. 


그 외 출토품으로 白釉黑彩動物紋、白釉褐彩牡丹花紋梅瓶 각 1건,玻璃器、玉臂鞲、金面具、金絲가 끊어지지 않은 瑪瑙 瓔珞 1套、銀鎏金帶式、銀盞、銀杯、銀鞍橋、銀蹀躞帶 等의 金銀器와 成套 馬具 등 각류 수장품 총계 140여 건이다. 



辽宁康平辽代契丹贵族墓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