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전근대 농업 주력으로서의 화전

by taeshik.kim 2024. 5. 22.
반응형
신미식 작가 반응이 궁금하다. 바오밥나무 숲을 태우니 말이다.

 
한반도 농업 흐름을 짚는 글을 신동훈 교수께서 집요하게 이곳에서 쓰거니와, 

그 흐름을 대별하면 전근대 한반도는 잡곡 중심이었으며,

벼농사라 해 봐야 주력이 아니었고, 그나마 한반도 남부 일대나 도작문화라 할 만한 지점이라는 골자로 나는 이해하거니와 

물론 그 전공답게 벼농사가 한반도에서 비롯하는 통로라는 관점에서 그것이 어디를 통해 들어왔고, 그것이 언제쯤 일본 열도로 건너가 야요이 문화로 연결되었는지도 주시한다고 보거니와 

요컨대 저 잡곡농경이라는 말 말이다, 그 점과 관련해, 또 꼭 저 문제가 아니라 해도 우리가 너무 쉽게 간과하는 문제가 바로 화전이다.

산이나 수풀에다 불을 질러 농경을 하는 그 농업 형태가 너무 쉽게 간과된다고 나는 생각한다. 

한반도처럼 산이 많은 데서 잡곡농경, 그 주력을 나는 우리가 지금 보는 그런 밭이 아니라 화전으로 본다. 

물론 화전이라는 말은 이쪽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누구나 말은 한다. 하지만 그뿐이다. 말뿐이다.

말뿐이니 누구나 아는 문제를 왜 새삼 이야기하느냐는 핀잔이 있을 뿐이다. 
 

태운 숲엔 종자를 뿌리고

 
그렇다면 벼농사는 논농사인데, 그게 무슨 대수로운 일이라고 농업사라 하면 매양 논만 떠들고 자빠졌는가? 이는 분명 형용모순이다. 

저 화전 문제를 천착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저 화전이 완전히 사라진 것은 놀랍게도 박정희 시대였다.

그때 산불방지 산림녹화를 위해 강원도 일대를 중심으로 남은 화전민들을 강제로 몰아냈다.

그 몰아낸 화전민 일부는 인천으로 이주했으며 현지에 남은 일부는 우리가 아는 그 농업인 혹은 펜션 운영하는 사람들로 전향했다. 

밭? 이 밭 하나 일구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아는가? 나처럼 깡촌 산촌에서 태어나고 비록 엄마 아부지한테 개끌리듯 끌려다니며 아동 노동에 혹사당하기는 했지만,

그런 경험에서 비춰보면 농사라는 것이 얼마나 고통이며, 그 일환으로 밭뙤기 하나 이루는 일이 얼마나 고통인지 안다. 

텃밭이니 주말농장이니 해서 잠깐 흉내내는 친구들이야 밭뙤기 농사가 낙일 수 있고 레저일 수 있겠지만

그 자갈밭이라도 하나 밭뙤기로 만들어야 콩이라도 한 말, 강냉이라도 한 말 거두어 입에 풀칠을 해야 하는 사람이 부지기였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 된다. 

그런 그들한테 국가는 때마다 세깅을 매겼고, 그렇게 해서 끊임없이 뜯어갔다.

인두세라 해서 사람 숫자대로 세금을 거둬가고 땅 주인이라 해서 소출 절반을 가져가는 그런 고난하고 질긴 삶이었다. 

지금 농촌에 버려진 밭은 모조리 묵정밭이 되었고, 비운 집조차 1년만 지나면 묵정밭이다.

자연이란 본래 그토록 무서워서 그 잡풀더미를 보면 기가 찬다. 
 

한 방에 잡풀 제거

 
그런 잡풀더미를 일거에 밭으로 만들어주는 도구가 화전이다.

그냥 불싸 질러 버리고 그에서 나온 재를 거름삼아 이랑 만들어 잡곡 뿌리는 농업이 화전이다. 

이 화전 유습이 그대로 남아 논두렁태우기로 명맥을 유지했지만 그마저도 이제는 거의 목숨이 끊어졌다. 

한국문화사에서 화전이 차지하는 위치, 그리고 그 화전의 양상을 제대로 보려거든 이제는 동남아 라오스 산촌을 가야 한다.

내가 농업사를 한다면, 내가 적어도 고고학으로 밥 빌어먹고 농업사로 먹고 산다 자처한다면, 동남아 어디 도자기촌 가서 토기 만드는 일 흉내낼 일이 아니라

적어도 1년은 넘게 그 산촌으로 들어가 그 주민들과 함께 어울려 산에다가 불을 싸지르고 그렇게 싸지른 땅에다가 잡곡을 뿌려봐야 한다. 

 
*** previous article *** 

 
공구리의 등장과 함께 물은 통제되기 시작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