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우리의 활자가 대량인쇄를 위한 것이 아니라는 점은 잘 알려져 있지만,
왕조실록처럼 달랑 5부에 교정용으로 한 두 부 더 찍는다 해도
많아 봐야 6-7부 정도 찍을 책까지
활자로 인쇄한 것은 왜 그랬을까?
필사보다 활자로 인쇄하는 것이 더 능률적이어서 그랬을까?
필자 생각에는 활자로 5부를 찍는 것보다 필사를 하는 편이 실록 5부 만드는 게 더 빠를지도 모른다.
숙련된 사람이 필사하면 활자로 찍는 것 못지 않은 속도가 났을 것이다.
실제로 왕조실록에는 활자본만 있는 것이 아니라 필사본도 있는 것으로 안다.
그럼 도대체 왜 활자로 찍었을까?
필자 생각에는 이렇다.
교정을 위해서일 것이다.
5부를 찍되 교정은 한 장만 보면 되기 때문이다.
그리고 그 한장에서 오탈자 등 고쳐야 할 부분이 나오면
판을 엎지 않은 상태에서 활자를 다시 심고 5부를 또 찍는다.
만약 필사를 하면 필사한 부수 전체를 전부 교정을 봐야 할 것이다.
겨우 달랑 5부를 펴내면서 활자를 써야 했던 이유는 이것 아닐까?
인쇄만 한다면 별 속도의 차이가 나지 않을지 모르겠지만,
중요한 실록에서 오탈자를 5권 모두에서 줄이는 방법은
결국 인쇄로 동일한 카피를 5장 만들어 그 중 한 장만 교정하는 것이 아닐까?
교정까지 시야에 넣으면 인쇄는 필사보다 더 능률적이 되었을 것이다.
특히 왕조실록처럼 오탈자가 없어야 하는 중요한 책이라면 더더욱 그랬을 것이고.
반응형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혀 다른 책, 더 다른 지식 구조 (42) | 2024.05.02 |
---|---|
활자의 목적: 편한 교정을 생각해야 (44) | 2024.05.01 |
중국의 농경 양식을 거울처럼 비추는 요하 이동 (34) | 2024.04.30 |
한국사와 중국 남북조 (33) | 2024.04.30 |
사슴과 꿩: 돼지와 닭의 대체재 (39) | 2024.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