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한국에서 목판인쇄가 번성한 이유

by 초야잠필 2024. 2. 27.
반응형

필자가 보기엔 두 가지다. 

첫째는 과거제. 

과거제가 시행되어

한적을 읽어내릴 수 있는 식자층 숫자가 확보됨가 동시에

이와 관련된 교보재 서적이 많이 필요해져 

목판인쇄가 호황을 누리기 시작했고, 

두 번째는 대장경 조판. 

대장경이 불교신앙심의 발로로 국가적 규모에서 조판되어 

목판인쇄 수요를 계속 창출했다고 본다. 

일본의 경우에는-. 

첫째로 과거제가 없었다. 

헤이시 이후 무가 정권은 과거제로 책읽을 필요도 없고 싸움으로 날밤을 샌 터라

자연히 식자층은 서울에 사는 공경과 산속의 스님들로 국한되기 시작하여, 

책의 수요가 많지 않았던 것 아닌가 싶고, 

이러한 상황은 불경에도 영향을 미쳐 

신앙심의 발로로 사경을 많이 했지만, 

장경 조판까지는 가지 않았고 

국가적 규모의 조판사업이 진행될 상황이 아니었다는 것은 

무가 정권 내내 마찬가지였다. 

이 두 가지 이유가 17세기 이전

한국과 일본의 목판인쇄 수요를 결정하지 않았을까 싶다. 

목판인쇄가 흥하느냐 아니냐의 갈림길은 결국, 

책 읽을 사람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였을 것이라 본다. 

물론 한적의 경우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