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제주 해녀가 찾은 해저유적

by taeshik.kim 2020. 6. 3.
반응형

 

수중조사와 개수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수중조사와 개수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제주 해녀가 발견한 신창리 수중유적 두 번째 발굴조사 시작 | 연합뉴스

제주 해녀가 발견한 신창리 수중유적 두 번째 발굴조사 시작, 임동근기자, 문화뉴스 (송고시간 2020-06-02 09:40)

www.yna.co.kr

 

제주 신창리 수중유적은 1983년 3월, 이 지역 해녀가 조업에 금제장신구를 발견하고 그런 사실을 신고하면서 처음 그 존재가 알려졌다. (아래 첨부사진은 모두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제공) 

 

 

수중조사 

 

이어 그해 4월, 당시 문화재관리국(문화재청 전신)에서 수중조사를 진행한 결과 금제장신구 2점을 추가로 발견한데 이어 1997년에는 제주대학교박물관이 이 해역을 추가 조사해 중국 남송 시대 도자기(청자)를 확인했다.

 

그렇게 잊힌 듯한 이곳을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가 재조사에 착수해, 2018년 9월 수중지표조사를 통해 남송대 도자기가 분포하는 구체적인 범위를 파악하는 한편, 이듬해에는 국립제주박물관과 제1차 공동 조사를 실시해 남송 시대 도자기 437점과 인장 2점, 인장함 1점을 확인하는 개가를 이룩했다.

 

 

수중유물 잔존 상태

 

이 신창리 해역 인양 중국 도자기는 12세기 말에서 13세기 초 중국 절강성(浙江省 용천요龍泉窯에서 생산한 청자들이라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이런 출토량으로 보아 이 해저에는 중국에서 생산된 도자기들을 싣고 바닷길을 오가던 국제무역선이 침몰한 것으로 추정된다.

 

 

개수제

 

작년 1차 수중조사에서 발한 인장 중 한 점에는 ‘삼가 봉한다’는 의미의 ‘謹封(근봉)’이라는 명문과 붉은 인주가 선명하게 남아 있었다. 

 

금번 2차 수중발굴조에서는 1차 조사 성과를 바탕으로 해저 유물 분포 양상을 파악하는 한편, 도자기를 싣고 있던 선박의 잔해를 찾는 작업들을 진행할 예정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