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역사문화 이모저모

현좌충신 양장용졸, 김대문의 이데올로기와 김부식의 이데올로기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18. 8. 15.
반응형


"이는 마치 무엇과 같은가 하니, 20세기에 활발히 출간되고 있는 우리나라 각 교사校史라든가 지방지를 보면 빠짐없이 들어가 있는 항목이 '우리 학교(혹은 고장)를 빛낸 인물들'이라는 곳인데, 이것만 보면 우리는 마치 그 학교, 그 고장 출신자 전체가 모두 독립투사이며 의병장이며 뛰어난 학자인 줄 착각하게 되는 착시현상에 견줄 수 있다. 하지만 특정 집단 전체와 그 집단을 구성하는 구성원 하나하나가 그 학교, 그 고장을 빛냋 인물이 될 수는 결코 없다. 개중에는 일제에 빌붙어 나라와 동포를 팔아먹은 놈이 있는가 하면 협잡꾼도 있을 것이고 천하의 난봉꾼도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설혹 김대문(金大問)이 현좌충신(賢佐忠臣) 양장용졸(良將勇卒)은 모두 화랑도 출신이라는 말을 했다고 해서 《화랑세기》가 그런 인물들로만 득실댈 것이며 나아가 화랑도 전체가 이런 사람들의 집단이라고 생각하면 커다란 착각이다. 어떤 집단이나 어떤 인물이 어떤 기준으로 부각되려면 그렇지 않은 인물들이 그 반대편에 항상 존재해야만 한다. 이완용이 없으면 신채호도 없다. 화랑도 모두가 정말로 현좌충신이고 양장용졸이었다면 김대문은 그런 인물들로만 채운 《화랑세기》라는 열전을 쓸 까닭이 없다. 모두가 현좌이고 충신이고 양장이며 용졸인데 뭣하러 현좌충신 양장용졸로 득실대는 《화랑세기》를 쓴단 말인가?"


김태식, 《화랑세기, 또 하나의 신라》(김영사, 2001) 중 프롤로그 '순국무사 화랑을 해체하며' 중 한 대목이다. 



이에서 보이는 "화랑도 모두가 정말로 현좌충신이고 양장용졸이었다면 김대문은 그런 인물들로만 채운 《화랑세기》라는 열전을 쓸 까닭이 없다"는 구절이 애초엔 "화랑도 모두가 정말로 현좌충신이고 양장용졸이었다면 김대문은 그런 인물들로만 채운 《화랑세기》라는 열전을 미쳤다고 쓴단 말인가"였다.  


내가 이 얘기를 왜 굳이 하는가? 《삼국사기》에는 신라시대를 살다간 김대문이라는 사람이 그의 단행본 중 하나인 《화랑세기》에서 했다는 말 중에서도 굳이 "현명한 재상과 충성스런 신하[賢佐忠臣]가 이(화랑)에서 우뚝 빼어났고,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졸[良將勇卒]이 이(화랑)에서 생겨났다"는 말을 인용했다고 했거니와, 《화랑세기》가 이미 일실(逸失)한 마당에, 이 구절을 접한 근현대 역사학도들이 너도나도 가릴 것 없이, 이런 말을 남긴 《화랑세기》는 화랑 출신 중에서도 그러한 현명한 재상과 충성스런 신하, 그리고 훌륭한 장수와 용감한 병졸만을 골라 열전으로 세운 충신 전기일 것으로 간주했기 때문이다. 그렇게 사라진 《화랑세기》가 홀연히 출현한 지금에도 이런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하지만 이는 이영표의 그것을 능가하는 완연한 헛다리 짚기에 지나지 않는다. 첫째, 저런 말을 김대문이 남겼다는 《화랑세기》는 '花郞世記'라, 이는 말할 것도 없이 '화랑을 역임한 사람들의 순차적인 전기'라는 뜻이거니와, 그 제목만으로도 벌써 신라본기 고구려본기 백제본기처럼 초대 이래 마지막까지 특정한 직위, 예컨대 왕 혹은 제후들의 순차적인 전기라는 의미이니, 아무렇게나 화랑 출신자들이라 해서 나열한 전기가 아닌 것이다. 세기(世記)라는 말은 본기(本記) 혹은 세가(世家)라는 말과 같다. 이 평범한 용어조차 그것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전연 눈치채지 못한 것이니, 이것이 《화랑세기》를 곡해한 제1의 원흉이다. 


둘째, 세기는 본기 혹은 세가인 까닭에 그러한 직책을 차례로 역임한 사람들은 여러 군상이 뒤죽박죽일 수밖에 없다. 신라본기를 보면 초대 혁거세 이래 마지막 경순왕에 이르기까지 56명에 달하는 왕이 있었으니, 개중에는 성군聖君도 있고 현군賢君도 있지만, 패악무도한 임금도 있고, 어려서 즉위해 아무 것도 못하고는 죽어간 애송이 왕도 있는 것이다. 백제본기와 고구려본기에 순차로 등장하는 왕들 역시 그러했다. 


자연 화랑들의 본기이자 세가인 '화랑세기' 역시 초대 화랑 이래 마지막 화랑에 이르기까지 이런 다양한 군상의 화랑들 열전이어야 한다. 이건 지금 홀연히 다시 출현한 《화랑세기》와는 전연 관계가 없다. 지극히 상식 수준의 추단만으로도 《화랑세기》에 등장할 화랑들은 그러해야 한다는 것을 안다.  


함에도 삼척동자도 간취하는 이런 특성을 정작 역사로 업을 삼는다는 자들(우리는 그들은 역사학자라 한다)만이 유독 그것을 몰라, 현좌충신 양장용졸 운운하는 구절이 《화랑세기》를 인용한  《삼국사기》에 보인다 해서, 이 말을 확대 왜곡하고는 《화랑세기》에는 현좌이면서 충신이고, 양장이면서 용졸인 신라 화랑이 그득할 것이라는 믿음은 단 한 순간도, 지금 이 순간에도 놓지 못하고 있다. 이것이 《화랑세기》를 망친 두 번째 원흉이다. 


셋째 원흉은 《화랑세기》와 《삼국사기》를 구별하지 못한 죄다. 기전체인 《삼국사기》를 구성하는 여러 편 중에서도 인물 전기인 열전이 정리한 인물 중에는 신라 화랑 출신이거나, 그렇게 추정되는 인물이 제법 있으니, 그런 사람들은 하나 같이 현좌이며 충신이고, 양장이고 용졸이니, 김유신이 그러하고, 그의 조카 김반굴과 반굴의 아들 김령윤이 그러하며, 사다함이 그러하다. 실제 이들을 보면 용맹한 전사戰士들이다. 하지만 《삼국사기》가 정리한 신라 화랑들이 이런 인물 일색이라 해서, 《화랑세기》가 정리했을 신라 화랑들 역시 이런 인물들로 점철했을 것이라는 생각은 위험천만하기 짝이 없다. 한데 그 위험천만한 생각들이 근현대 역사학 지난 100년을 정답처럼 군림하고 말았다. 


'현좌충신 양장용졸'은 김대문이 생각한 바람직한 화랑상(像)일 뿐이며, 실제 모든 신라 화랑이 저러했던 것은 단연코 아니다. 그런 사실을 누구보다 김대문 자신이 너무 잘 알았다. 하지만 저 말이 김부식으로 넘어오면서는 일대 변신을 꾀해, 김부식이 《삼국사기》 열전에 수록할 사람들을 추리는 기준이 되었던 것이다. 다시 말해 같은 현좌충신 양장용졸이라 해서, 그 맥락은 전연 달랐던 것이다. 


말한다. 


김대문이 말한 현좌충신 양장용졸과 김부식이 그것을 굳이 끄집어 낸 맥락은 전연 다르다. 이 다름을 인지하지 못한 데서 신라 화랑을 둘러싼 거대한 곡해가 빚어졌던 것이다. 김대문의 이데올로기와 김부식의 이데올로기, 이걸 구별할 줄 모르는 것은 똥과 된장을 구분치 못하는 일과 같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