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화전과 나무뿌리

by 초야잠필 2024. 9. 5.
반응형

신석기시대에 정기적으로 옮겨다니며 불지르고 다시 새로운 곳에서 밭농사를 했을 것이라 하였는데, 

필자는 신석기시대의 초기 농경에서는 

생판 새로운 숲을 불질러 새로운 농경지를 확보하는 방식이 아니라 

이미 노동력이 어느 정도 투입된, 몇 년 정도 묵혀 둔 지역에 돌아와 불을 질러 새로 농사를 지었을 거이라는 이야기를 하였다. 

물론 전적으로 추측에 불과하지만 따지고 보면 이 당시 농경민은 새로운 토지의 획득이 목적이 아니라 

농사가 가능한 땅을 얻는 것이 목적이므로 

이미 한번 개활지로 만들어 놓았던 땅에 몇년 후 다시 돌아와 불을 질러 농사를 시작하는 편이 

아예 새로운 땅으로 가는 것보다 훨씬 나았을 것이다. 

불과 몇 년 정도라면 이전의 지력을 회복할수 있지 않을까 하는데 

세 군데 정도만 확보해도, 

3년 간격으로 옮긴다고 하면 6년 후에는 원래의 장소로 돌아올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면 사실인 것은 중세 유럽의 휴경지를 포함한 윤작 시스템과 별로 다를 바가 없다. 

요는 나무뿌리-. 

화전에서 이것 무시 못할 것이라는 건데, 

한번 노동력이 투입되어 나무뿌리가 제거된 땅은 

6년 정도 후에 돌아와도 아마 관목 정도로 

불만 질러도 쉽게 제거 하고 농사를 다시 시작할 수 있지 않았을까 한다. 

그렇게 본다면, 

우리 신석기시대 초기 농경민은 세 군데 정도의 경작지를 확보하여

3-4년마다 옮겨다니며 묵혀두고 불을 질러 지력을 새로 얻어 농사를 짓지 않았을까. 

그리고 처음에는 새로 시작하는 농경지 가까이로 3-4년마다 거주지를 옮기며 농사짓지 않았을까 한다. 

이것이 우리 신석기시대 잡곡 농경, 초기 모습의 실체 아닐까.

중세유럽의 휴경과 농경의 반복. 클로버라고 되어 있는 것이 휴경지이다. 이러한 휴경과 농경의 반복을 여러개의 개활지 사이에서 구현하여 새로 농사 지을때마다 불을 질러 지력을 확보하고자 하지 않았을까.

 

*** previous article *** 

 

화전민은 몇 년 만에 원래 위치로 돌아왔을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