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노년의 연구

18세기 노비사역론을 마무리 하며

by 신동훈 識 2025. 8. 18.
반응형

앞에서도 말했지만

필자는 지금 작업 중인 조선시대 검안 서류에 대한 의학적 분석 때문에 

19세기 조선사회에 대해 싫든좋든 공부하고 배워야 한다. 

18세기 노비사역에 대한 검토도 이 때문에 생긴 부산물이다. 

필자가 시간이 남고 할 일이 없어 이런 작업을 한 것이 아니다. 

필자 역시 역사학의 문외한, 관찰자로서 솔직히 써 보자면, 

18세기 초반까지도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을 노비로 사역시키던

이 정황을 무시하고 대충 덮어둔 채 입안하는 연구 작업은 아무런 의미도 없는 것이다. 

그리고 필자처럼 문외한으로서 조선후기사를 읽는 분들, 

조선시대 자본주의 맹아론을 애국의 입장에서 바라 보는 분들은 

18세기 초반까지 우리나라 향촌사회는 

전체 인구의 절반 이상이 노비였다는 사실, 

그리고 지금 21세기 현재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은

멀지도 않은 18세기 초반에는 무려 노비 조상을 가지고 있었다는 사실, 

그 두 가지를 한 번쯤은 생각해 본 다음, 

조선후기사를 다시 읽어보시기를 권한다. 

이전과는 완전히 다르게 읽힐 것이라 장담한다.

우리 모두의 절반은 17-18세기에 노비조상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이 사실을 무시한 채 역사를 읽는 것은 아무런 의미도 없고,

차라리 판타지 소설이나 K 드라마 사극을 보는 것과 아무 차이가 없다.

18세기 노비사역을 직시하지 않는 한국사를 읽을 바에는 차라리 K 드라마를 봐라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