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웅산 묘지에 들렀다.
미얀마 건국의 공로자 아홉명을 기리는 기념물인데 아웅산만 별딱지를 붙였다.

이곳이 바로 1983년 10월9일 아웅산 폭파사건 현장이다.
묘지 입구 한켠에 기념관을 세웠다 한다.
이 기념관은 미얀마 정부에서 한국 대사관이 30년 임차한다 한다.

희생자 명단에 동아일보 사진부장도 있다.
우리 연합에서도 당시 최금영 선배가 현장에 있다가 구사일생 피투성이로 살아났는데 그 유품들인 카메라와 사진이 연합뉴스 본사 일층에 전시 중이다.

최선배는 내내 아웅산 후유증에 시달리다 타계했다.
(2015. 9. 16)
*** related article ***
1983년 10월 8일, 미얀마가 폭발했다
1983년 10월 8일, 미얀마가 폭발했다
[순간포착] 남북 분단사의 대참극…'아웅산 테러 사건' 송고시간 2020-10-10 07:00 임동근 기자 www.yna.co.kr/view/AKR20201006129300005?section=society/accident [순간포착] 남북 분단사의 대참극…'아웅..
historylibrary.net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대용 화상畵像은 이렇게 발굴되고 이렇게 공개되었다 (0) | 2020.10.11 |
---|---|
장서인을 가장 먼저 후벼파는 이유 (0) | 2020.10.10 |
정력, 그 표상으로서의 몽정夢精과 몽설夢泄과 몽유夢遺 (0) | 2020.10.10 |
1983년 10월 8일, 미얀마가 폭발했다 (0) | 2020.10.10 |
일본의 천황 후계 시스템과 신라의 성골 진골 (0) | 2020.10.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