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초기 인류 친척들은 이미 260만년 전에 앞을 내다봤다

by 세상의 모든 역사 2025. 8. 16.
반응형

케냐 석기 분석 결과 10㎞ 지점에서 재료 조달

 

올도완 석기 조각Oldowan flake tool 한 점이 도축한 하마 사촌 동물뼈 근처에서 발견되었다. (Image credit: T.W. Plummer, Homa Peninsula Paleoanthropology Project)

 
아프리카 케냐에서 발견된 수백 점 석기는 인류 조상들이 원재료를 찾기 위해 먼 거리를 이동했음을 보여준다는 연구결과가 제출됐다.

연구진은 고대 인류 조상들이 다양한 돌을 상당한 거리에 걸쳐 이동시켰다고 보고했다. 이는 전문가들이 이전에 가능하다고 생각한 것보다 60만 년이나 앞선, 놀라울 정도로 높은 수준의 '미래 계획 forward planning'이 있었음을 보여준다고.

8월 15일 금요일, Science Advances 저널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 연구팀은 케냐 느양가Nyayanga 유적에서 발견한 300만 년에서 260만 년 전 사이 석기 401점을 면밀히 분석했다.

이 도구들은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진 올도완(Oldowan) 양식으로 만들었는데, 이는 돌 하나에서 다른 돌을 깎아 기본적인 도구를 만드는 방식이었다.

사용한 돌 종류는 놀라웠다. 대부분 9.7km(6마일) 이상 떨어진 곳에서 온 것이었다.

침팬지Pan troglodytes가 견과류를 깨기 위해 화강암 망치돌을 2km(1.2마일)까지 운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전 연구에 따르면 이는 누적된 단거리 이동을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번 새로운 발견은 인류 친척들이 더 먼 거리까지 도구를 운반할 수 있었음을 보여주며, 이는 인류가 더 뛰어난 사전 계획 능력을 지녔음을 시사한다.

"사람들은 종종 도구 자체에 집중하지만, 올도완 문명의 진정한 혁신은 자원을 한 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동시킨 것일 수 있다"고 워싱턴 D.C. 국립자연사박물관 고인류학자이자 연구 공동 저자인 릭 포츠Rick Potts는 성명을 통해 밝혔다.

"돌을 풍부한 식량원으로 운반하려는 지식과 의지는 올도완 문명 초기 도구 제작 행위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가장 오래된 석기는 약 330만 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전문가들이 우리 속인 호모Homo가 기원했다고 생각하는 것보다 거의 100만 년 전의 것이다.

이 도구들은 아마도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루시ustralopithecine Lucy와 같은 인류 조상이 만들었을 것이다. 하지만 이 초기 도구들은 현지에서 조달하거나 가까운 거리(최대 약 3km)에서 조달한 재료로 만들었다.

이 석기들은 현지에서 구할 수 없는 다양한 재료로 만들었다. (Image credit: E.M Finestone, J.S. Oliver, Homa Peninsula Paleoanthropology Project)

 
약 200만 년 전, 호모 에렉투스와 같은 인류 조상은 큰 변화를 겪었다. 뇌와 몸집이 커졌고, 일부는 아프리카를 떠나 이주했으며, 일부는 요리하고 고기를 먹기 시작했다.

또한, 이 초기 조상들이 미리 계획을 세우고, 도구로 사용할 돌을 더욱 신중하게 선택하고, 먼 거리에서 조달하기 시작했다는 증거도 있다.

하지만 느양가에서 발견된 석기는 인류 조상들이 암석을 선택하고 장거리로 운반했다는 최초의 증거보다 60만 년 더 오래되었으며, 호모속(Homo) 출현보다 앞선 것으로 추정된다.

포츠에 따르면, 이는 이 집단들이 식량을 가공하는 데 필요한 것과 주변 환경을 어떻게 머릿속으로 그려낼지 파악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느양가에서 발견된 석기를 어떤 종이 만들었는지 아직은 불분명하다.

클리블랜드 자연사 박물관 생물인류학자이자 연구 공동 저자인 엠마 파인스톤Emma Finestone은 성명에서 "실제로 도구를 들고 있는 호미닌 화석을 발견하지 않는 한, 어떤 종이 어떤 석기 조합을 만들었는지 확실하게 알 수 없다"고 말했다.

이 경우, 석기는 파란트로푸스속(Paranthropus)으로 추정되는 일부 화석과 함께 발견되었는데, 이는 "핵심과 편평한 돌의 운반이 호모속(Homo)에만 국한된 것인지 의문을 제기한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인류 친척 어느 종이 도구를 만들었는지는 중요하지 않지만, 그들이 도구를 먼 거리까지 운반했다는 사실은 그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지능적이었음을 시사한다.

파인스톤은 성명에서 "인간은 적응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항상 도구에 의존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가 어떻게 시작되었는지 이해함으로써, 특히 기술이 만들어낸 세상에서 새로운 도전에 직면한 오늘날, 우리는 이 관계와 우리의 관계를 더 잘 이해할 수 있습니다."
 
200만년전 파란트로푸스 치아에 난 구멍이 쥔 비밀

200만년전 파란트로푸스 치아에 난 구멍이 쥔 비밀

인류의 가까운 친척을 밝혀낼 수도 치아 법랑질tooth enamel에 난 작은 구멍 덩어리가 수백만 년 전 단일 진화 계통으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는 비밀을 쥐었다? 멸종된 인류 친척 파란트로푸스Paranth

historylibrary.net

 
 
260만년 전 새로운 호미닌 에티오피아서 발견

260만년 전 새로운 호미닌 에티오피아서 발견

루시와 같은 시대 같은 땅을 호흡한 듯 루시Lucy의 사촌이 인류 역사상 가장 오래된 종과 같은 지역에 살았을 가능성이 제기됐다는 새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 새로운 종일 가능성이 있는 미확

historylibrary.net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