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NEWS & THESIS

Reconfirmation of the Ancient Baekje-era Royal Tombs in Songsan-ri, Gongju

by taeshik.kim 2021. 6. 28.
반응형

Around the 50th anniversary of the discovery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the Buyeo National Research Institute launched a reinvestigation of the Songsan-ri Tombs in Gongju, where it was located, and as part of that investigation, it re-examined and exposed its No. 29 Tomb.  

This tomb draws keen attention in that it is located directly adjacent to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Songsan-ri No. 6 Tomb, and the floor and walls are made of bricks like two tombs, but the upper part of it is made of stone.

This exposure to No. 29 had been actually my dream. Why would we bury such a great burial? Therefore, on the 50th anniversary of the excavation of the Royal Tomb of King Muryeong, I conveyed my intention to excavate and expose it to several places, and the Buyeo Cultural Heritage Institute expressed its will, not only at my request.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가 무령왕릉 발견발굴 50주년에 즈음해 그것이 위치한 공주 송산리고분군에 대한 재조사에 착수했으니, 그 일환으로 식민지시대에 조사했다가 도로 묻은 송산리29호분을 재조사해 노출했다.

이 고분은 우선 전축분 벽돌무덤인 무령왕릉, 그리고 송산리6호분과 바로 인접지점이라는 점에서 비상한 주목을 끌며, 나아가 그 형식 혹은 구조로 볼 적에 바닥이랑 벽체는 두 무덤처럼 벽돌로 만들었지만 어찌된 셈인지, 그 위쪽은 백제 고래의 돌로 쌓았다는 점에서 더한 주시를 요한다. 

이 29호분 노출은 실은 내 꿈이기도 했다. 왜 멀쩡한 무덤을 파묻어 둔단 말인가? 그리하여 50주년에 즈음해 이걸 발굴하고 노출해야 한다는 뜻을 요로를 통해 전달했으며, 그에 덧붙여 다름 아닌 부여문화재연구소 또한 내 요청이 아니라 해도 그런 의지를 강하게 피력한 터라, 수월하게 재조사가 이뤄지게 되었다. 

이 무덤에 대해서는 졸저 《직설 무령왕릉》에서도 논급 정리한 적이 있다. 문화재청이 배포한 이번 재조사 성과 보도자료 영문과 국문을 첨부한다. 

 

백제 왕릉급 무덤 '송산리 29호분', 88년만에 다시 드러났다
박상현  / 2021-06-28 09:26:49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발굴조사 결과 발표…출토 유물 거의 없어
"무령왕릉보다 조성 시기 늦을 가능성 커"

 

The Reconfirmation of the Ancient Royal Tombs in Songsan-ri, Gongju
- Identification of the forgotten Tomb No. 29 
since the Japanese Colonial Era (year 1933) -

 

Tomb No. 29 at Songsan-ri Tumuli, Gongju 

 

The Buyeo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Director of Research Institute Hwang Yin Ho) and the city of Gongju (Mayor Kim Jeong Sup) commenced an official excavation of the Ancient Tombs, starting with an ancestral memorial ceremony for the Ancient Tombs in Songsan-ri, Gongju, on March 19th. Tomb No.29 had initially been investiga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ut no details regarding its location and condition were known up until now.

* Excavation Site: Range of 51, Ungin-dong, Gongju-si, Chungcheongnam-do (Tomb No. 29)

The Ancient Tombs in Songsan-ri (a historic site), also known as the Baekjae Woong-jin periods Royal Tombs, currently house a total of 7 tombs, including the Tomb of King Muryong. Although previous research indicated reports of several more existing tombs, most of their exact locations were not known. This excavation was the first investigation of the Ancient Tombs in Songsan-ri, which are a part of the Buyeo National Institute of Culture Heritages long-term research plans for the main Baekjae cultural remains (21. 2.). The investigation area included the large southern maintenance area nearby Tomb 29.  

Through this excavation, Tomb 29 was discovered approximately 10m southwest of Tomb 6. The ceiling and the upper part of the Tomb 29 were all lost, but the lower part remained well. Tomb 29 is a stone chamber tomb with a tunnel entrance comprised of the main chamber (玄室), the tomb entrance passage (羨道), and the grave entrance (墓道). The tomb size is fairly large at 340~350cm from north to south and 200~260cm from east to west, and it is presumed to be a royal tomb, as it is not only similar in size to tombs 1~4, but also larger than Tomb 6. The main chamber was built with stacked stones and plastered with cement on the inside. The flooring was constructed with diagonally-placed bricks, in the same structure as the Tomb of King Muryong and Tomb 6. There are two coffin-platform, brick on the floor; the east coffin-platform (approx. 250) is larger than the west coffin-platform (approx. 170). The main chamber entrance is closed off by a brick wall. The tomb entrance passage was constructed by leaning on the east side of the main chamber, and the main chambers floors were made with bricks laid out like the main chamber. The grave entrance is mostly lost and only has about 2.2m remaining, and at the point where the grave entrance begins, a part of the drains made of bricks were confirmed. 

* main chamber (玄室): the room where the corpse is placed

* tomb entrance passage (): the road leading from the tomb entrance to the room where the corpse is placed

* grave entrance (墓道): the road leading from the grave entrance to the room where the corpse is placed

* platform for coffin (棺臺): a flat, low platform for placing the coffin in the tomb

 

Tomb No. 29 at Songsan-ri Tumuli, Gongju 

 

Tomb 29 features the same style as Tombs 1~5 in the sense that it is structurally a stone chamber, but it can be seen that Tomb 29 was influenced by the Tomb of King Muryeong and Tomb 6 in terms of the use of bricks on floors and coffin-platform. Through this investigation, we will be able to further determine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ranking of the tombs. In addition, This excavation was also carried out in consideration of digital recordings, VR filming, and 3D modeling for restoration purposes.  

 

Starting with the excavation of Tomb 29, the Buyeo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discovering long-forgotten tombs one by one, and the organization aims to restore the Ancient Tombs status as the Baekjae royal tomb site. Furthermore, the Buyeo Nation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ill plan to research on the restoration of funeral of the Baekjae Woongjin period royal tombs and hold an on-site presentation during the Baekjae Cultural Heritage Week (7.8.~7.14.) for the general public.

 

 

 

송산리 고분군 · 대한민국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57

★★★★☆ · 고분/왕릉

www.google.com

 

 

공주 송산리고분군에서 왕릉급 고분 재확인
- 일제강점기(1933년) 조사 이후 잊혀졌던 29호분 실체 확인 -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소장 황인호)와 공주시(시장 김정섭)는 공주 송산리고분군에서 지난 3월 19일 개최한 고유제를 시작으로, 일제강점기 당시 조사되었지만 그 현황과 위치가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29호분을 발굴조사해 그 규모가 왕릉급이라는 것을 다시 한 번 확인했다.

* 발굴현장: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 51번지 일원(29호분)

백제 웅진기 왕릉원으로 알려진 공주 송산리고분군(사적)에는 현재 무령왕릉을 포함한 총 7기의 고분이 정비되어 있지만, 기존 조사에 따르면 그보다 많은 수의 고분이 있었던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하지만, 대부분 정확한 위치는 알려져 있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번 조사는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 추진 중인「백제문화권 핵심유적 중장기 조사연구 계획(2021.2.)」의 하나로 진행하는 공주 송산리고분군 학술조사의 첫 발굴조사로, 29호분을 포함한 남쪽으로 넓게 뻗어 내린 정비구간을 대상지역으로 하였다.

조사 결과, 6호분으로부터 남서쪽으로 약 10m 떨어진 곳에서 29호분을 확인하였다. 29호분은 천장을 비롯한 상부가 모두 유실된 상태였지만 하부는 잘 남아 있었다. 시신을 안치한 현실(玄室)과 연도(羨道), 묘도(墓道)로 이루어진 굴식돌방무덤(횡혈식 석실묘, 橫穴式石室墓)이다. 현실의 규모는 남북 길이 340~350㎝, 동서 길이 200~260㎝로 상당히 큰 편인데, 이는 송산리 1~4호분과 유사한 규모일 뿐 아니라 전실분(塼室墳)인 6호분보다도 큰 규모여서 왕릉급으로 추정된다.

현실은 깬돌(할석)을 쌓아 축조한 후 내면에 회를 칠하여 정연하게 마무리하였다. 바닥은 벽돌을 사선방향으로 깔았는데, 이러한 방식은 무령왕릉과 송산리고분군 6호분과 같은 구조다. 바닥에는 벽돌로 축조한 관대(棺臺) 2매가 확인되었는데, 동쪽의 관대(길이 약 250㎝)가 서쪽의 관대(길이 약 170㎝)보다 큰 편이다. 현실의 입구는 벽돌을 여러 단 쌓아서 폐쇄하였다. 연도는 현실의 동쪽에 치우쳐 축조하였는데, 연도 바닥도 현실과 같이 벽돌을 깔아 시설하였다. 묘도는 대부분 유실되어 약 2.7m만 남아 있는데, 묘도가 시작하는 부분에서 벽돌을 이용하여 축조한 배수로가 일부 확인되었다.

* 현실(玄室): 시신을 안치한 방

* 연도(道): 고분의 입구에서 시신을 안치한 방까지 이르는 길

* 묘도(墓道): 무덤의 입구에서부터 시신을 두는 방까지 이르는 길

* 관대(棺臺): 무덤 안에 관을 얹어 놓던 평상이나 낮은 대

29호분은 석실 구조라는 점에서 1~5호분과 같은 양식이지만, 바닥과 관대에 벽돌을 사용한 점에서 전실(塼室)인 무령왕릉과 6호분의 영향을 받았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송산리고분군 내 고분들의 축조 순서와 위계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번 조사에서는 앞으로 남은 복원과 정비를 고려하여 지털로 기록화했으며, 가상현실(VR) 제작을 위해 영상 촬영을 했으며, 유실된 상부를 향후 복원하기 위한 3차원 입체(3D) 유형화(모델링)도 시행하였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에서는 이번 29호분 발굴조사를 시작으로 공주 송산리고분군에서 잊혀진 고분들을 하나씩 찾아내어, 백제 왕릉원으로서의 위상을 되찾고자 한다. 또한, 백제 웅진기 왕릉의 상장례(喪葬禮) 복원을 위한 조사·연구와 함께 국민과 직접 소통하는 현장 설명회를 백제문화유산주간(7.8.~7.14.)에 개최할 계획이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