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tion of the stone-piled moat no. 1>
Identify Additional Road, Building Site and Stone-Piled Moat at The Approach Road between Gyerim and Wolseong
-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Online Presentation at 2pm on November 27th-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he GNRICH, Director Lee Jong-Hoon),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ll disclose ‘the result of the excavation in the west rampart and the approach road between Gyerim and Wolseong,’ is one of the comprehensive academic research on Wolseong in Gyeongju, on November 27th through the YouTube channel of the GNRICH.
YouTube channel of the GNRICH: https://www.youtube.com/channel/UCyvYCBA2aJFa8hIdIpur82Q.
Wolseong in Gyeongju (historical site no. 6) is currently conducting excavations on areas, where are divided into moats, rampart (A district), and a group of building sites inside Wolseong (C district). Related research results were released through the media in March 2016, May 2017, and April 2019. In particular, Insingonghui (人身供犧_Human Sacrifice) to the west rampart came into the spotlight as the first case in Korea because there was a human sacrifice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rampart.
*Insingonghui: A story that the embankment or building would not collapse if buried a person under a cornerstone.
<location of Gyerim Forest>
Wolseong Moats has been restored by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roject Team for Core Sites of the Silla Capital, under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with Gyeongju City since March 2019. In the middle of the restoration process of the stone-piled moat with flowing water, an excavation investigation was requested on the unexcavated area.
<location of Insingonghui (人身供犧_Human Sacrifice) Remains>
Since September 2019, the GNRICH hasbegun excavation on a passageway leading to Wolseong through Gyerim. In 1990, around of the passageway was excavated and『Wolseong Moat Excavation Report I』, as a result of the excavation, unveiled Jeoksim (the foundation remains) of a building site. From 2019, a complementary investigation on the rest of the building site under the passageway has been conducted,and this building site is believed to be a large building site from the Unified Silla era.
During this investigation, the GNRICH has identified a road feature and piled roof tiles from the Unified Silla to the Goryeo and Joseon era. The road feature identified at the closest point to Wolseong is estimated as a small road less than 5m. This road is a crucial data on the road network connecting the inner area of the royal palacethrough Gyerim, were related to the national ritual place and a vast building site in Hwangnam-dong. Furthermore, it has been identified that the stone-piled moat no. 1 was divided into stone-piled moat no. 1-1 and no. 1-2, and it is assumed that it will provide new information for the future moat restoration and maintenance work.
On the other hand, the excavation of the west rampart of Wolseong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gate site entering the palace. However, the gate site was already lost. Two human bodies in their 50s were found between a base construction layer and an artificial ground layer for the rampart. After this discovery, the limited scope of the research area of the gate site was expanded to its surrounding to find data related to Insingonghui and the detailed sequence of the rampart construction proces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relation between Insingonghui and the rampart construction. Moreover, various organic matter including rice straws, traces of Gyohoseongto (交互盛土_paving with mixed charcoal and soil), traces of piling with lumps of earth, and a stone alignment in the layer of artificial ground for rampart were confirmed.
* Base construction: The foundation process of filling wetlands or solidly building the site before building the rampart.
* Artificial ground for rampart: The process of building up the body part of the rampart
It was possible to see an accurate moat by investigating the unexcavated area and its around. The stone-piled moat no.1 was divided into two moats with different construction methods. It could be seen diachronic changes of features closed to the Wolseong through the Unified Silla, Goryeo and Joseon periods. Furthermore,an opportunity was provided to analyze traces of various construction methods and rituals practiced in the early mud fortification of Silla through the supplementary research.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o reveal the construction date of the rampart based on unearthed artifacts and analysis of the paleoenvironment material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west rampart.
This excavation result is published online to share cultural heritage when it is difficult to visit the excavation site directly due to Covid-19. Anyone can visit the GNRICH YouTube channel to watch videos about unearthed features and artifacts. As experts reviewed and advised these excavation results, the online presentation will talk down to the audience, and also experts are ready to explain further details.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s the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ill continue to conduct research and investigation on the royal palace of Silla and identify the space, function, culture and scenery of the Silla capital.
하나인 줄 알았던 경주 월성 1호 석축해자, 두 개였다
송고시간2020-11-27 10:58
임동근 기자
계림∼월성 잇는 도로 및 통일신라시대 건물터도 발견
계림~월성을 잇는 진입로에서 건물지ㆍ월성 석축해자 추가 확인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소장 이종훈)는 경주 월성 종합학술연구 과제로 추진 중인 ‘계림~월성 진입로, 서성벽에 대한 발굴조사 성과’를 27일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공개한다.
*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 https://www.youtube.com/channel/UCyvYCBA2aJFa8hIdIpur82Q
* 해자(垓子): 적의 침입을 막기 위해 성 주위를 둘러서 판 물도랑 또는 못
경주 월성(사적 제16호)은 현재 해자, 성벽(A지구), 월성 내부 건물지군(C지구)으로 구분되어 발굴조사가 진행되고 있으며, 관련 조사 성과를 2016년 3월, 2017년 5월, 2019년 4월에 언론을 통해 공개한 바 있다. 특히, 2017년에 공개된 서성벽의 인신공희(人身供犧)는 성벽을 쌓는 과정에서 사람을 제물로 사용한 국내 최초 사례로서 주목받았다.
* 인신공희 또는 인주 설화: 사람을 기둥으로 세우거나 주춧돌 아래에 묻으면 제방이나 건물이 무너지지 않는다는 내용의 설화
월성 해자는 문화재청 신라왕경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추진단과 경주시가 2019년 3월부터 정비 공사를 시행 중으로, 물이 흐르는 석축 해자로 복원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미발굴 구간에 대한 발굴조사가 요청되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계림을 지나 월성으로 올라가는 통행로에 대해 2019년 9월부터 발굴조사를 착수하였다. 발굴조사 결과로 1990년 「월성해자 발굴조사 보고서Ⅰ」에서 통일신라 시대 대형 건물터로 추정되는 적심건물지가 보완 조사 되었으며, 통일신라~고려·조선 시대에 이르는 도로 유구, 기와무지 등이 확인되었다. 월성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확인된 도로 유구는 5m 이하의 소형 도로로 추정되면서 국가적 제의 공간과 관련된 계림, 황남동 대형건물지 유적과 통하고 있어 왕궁 영역을 내부적으로 연결하는 도로망에 대한 자료로서 중요하다. 또 1호 석축 해자가 1-1호 석축 해자와 1-2호 석축 해자로 구분되는 양상이 파악되어 앞으로 해자 복원정비 공사에 새로운 정보를 제공해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월성 서성벽 발굴조사는 성 내부로 들어가는 문지 확인을 위해 시행되었지만 이미 유실된 상태였고, 인근 범위에서 50대로 추정되는 인골 2구가 성벽 기저부 조성층과 체성부 성토층 사이에서 확인되었다. 이후 기존 문지 조사의 한정된 범위를 주변 일대로 넓혀 인신공희와 관련된 정황 자료와 성벽 축조공정의 세부적 순서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인신공희와 성벽 축조 공정의 연결성을 확인하였으며, 볏짚을 포함한 각종 유기물질, 목탄 등을 섞어 흙을 교대로 깔았던 교호성토(交互盛土)의 흔적, 흙덩어리를 재료로 쌓은 흔적, 체성부 내부에 존재한 석렬이 확인되었다.
* 기저부 조성: 성벽을 본격적으로 쌓기 전에 습지를 메우거나 대지를 견고하게 다져 쌓는 기초 공정
* 체성부 성토: 성벽의 몸체 부분을 본격적으로 쌓아 올리는 공정
이번 조사로 미발굴 구간과 중요 지점의 주변 일대를 보완 조사하여 정확한 해자의 배치도를 그릴 수 있게 되었다. 1호 석축 해자는 축조 방식이 다른 두 개의 해자로 분리되었으며, 월성과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통일신라~고려·조선 시대에 걸쳐 존재한 유구의 통시적 변화를 확인해 볼 수 있었다. 또한, 서성벽 일부 구간 보완 조사를 통해 신라의 초기 토성에 시행되었던 다양한 축조 공법과 제의 흔적을 폭넓게 분석해 볼 기회가 마련되었다. 앞으로 서성벽 축조 공정과 연계된 고환경 시료 분석과 유물의 전수 조사를 기반으로 베일에 싸여 있는 월성의 축조 연대도 밝혀질 것이라 기대된다.
월성 온라인 현장설명회는 코로나19로 인해 발굴조사 현장을 직접 방문하기 어려운 상황에서 앞서 밝힌 조사 성과를 공유하고자 마련되었다.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유튜브를 통해 접속하면 누구나 유구와 유물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이번 발굴조사 성과에 대한 전문가 검토와 자문회의는 사전에 이루어짐에 따라 온라인 현장 설명회는 일반인을 대상으로 눈높이를 맞춰 진행하고 관련 전문가의 설명도 준비하고 있다.
문화재청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는 앞으로도 월성을 비롯한 신라 왕궁에 대한 꾸준한 조사·연구를 추진할 것이며, 더 나아가 신라 왕경의 공간과 기능, 문화·자연 경관을 밝히는 데 노력할 예정이다.
'NEWS & THESI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발굴로 드러난 경주 금령총 (0) | 2020.11.28 |
---|---|
Ong-gwan (甕棺): Large ancient jar coffin made from clay to place the corpse in (0) | 2020.11.28 |
봉황장식 신라 금동자물쇠를 실견하다 (0) | 2020.11.27 |
마라도나로 이름 바꾼다는 나폴리 축구장 (0) | 2020.11.27 |
3.1m anchor stone of a medieval Chinese trading vessel in Korea (0) | 2020.11.2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