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다리미9 서양에 완패하고 박물관에 쳐박힌 다리미와 인두 전통 다리미 혹은 숯다리미로 검색하니 이 사진이 걸려드는데 숯다리미와 인두(사진출처 전주역사박물관)라 뜬다. 왼쪽 세 개 편편넓적 자루 달린 철제 기구가 철제 다리미요, 그 오른쪽 두 점 똥꼬 쑤심용 기구가 인두다. 저 두 가지 모두 옷감을 다림할 때 썼다. 아버지 외출할 때 우와기 가다마이 걸칠 때면 엄마가 입에다 냉수 뿜뿜 뿜어 다렸으니, 저 인두질 다리미질 할 때 나는 누나랑 양쪽에서 옷감을 당겼다. 그 물 뿌리는 장면이 저걸 사용하던 시대를 배경으로 삼은 영화나 드라마에 더러 보이는데 결국 저 다리미 인두도 양놈산과 쟁투랄 것도 없고 처철히 패배하고선 모조리 박물관이나 가 있는 신세다. 전기가 없던 시대, 옷감을 다림은 해야겠고 해서 개발한 것이 저 다리미 인두다. 저것도 불조절 잘못하면 시커멓게.. 2025. 4. 1. 한반도를 침공 정복 식민화한 서구 다리미 Antique iron, ca. 1800-1900Collage by: Lilyane Haddad이렇게 소개하는 19세기 다리미들이다.이걸 보면 현재 우리한테 익숙한 다리미는 저 직접 후손임을 직감한다.이 다리미 문제가 얼마나 인류문화사, 특히 동아시아사에서는 중요한지 내가 여러 번 설파했다.다만 저 현대화하고 서구화한 다리미로 동아시아 전근대 다리미를 접근해서는 안 된다.하지만 전통시대 다리미가 어찌 변모하는지 그 변화양상을 추적하는데 저 서구다리미는 굉대한 의미와 통찰력을 제공한다. 2024. 5. 4. 왜 다리미를 북두칠성이라 하는가? 요새야 다리미라 하면 전기다리미를 생각하나 전통시대 다리미는 다음과 같다. 실례로는 청동을 제시했지만 철제도 드물지 않다. 저 생김이 흡사 북두칠성이라 그 생김이 흡사 청동다리미 단면도다. 그래서 다리미를 위두熨斗라 해서 북두칠성을 의미하는 斗자를 굳이 썼다. *** previous article *** 북두칠성 상징으로 다리미를 매장한 조영동 무덤 북두칠성 상징으로 다리미를 매장한 조영동 무덤아직은 불완전하다. 1988년 영남대박물관이 조사한 경산 조영동 E 2-1호분이다. 환두대도가 나온 걸로 보아 묻힌 사람은 남자로 본다. 축조연대는 오세기 후반으로 조사단이 봤다. 저 다리미가 칠historylibrary.net 2024. 3. 24. 북두칠성 상징으로 다리미를 매장한 조영동 무덤 아직은 불완전하다. 1988년 영남대박물관이 조사한 경산 조영동 E 2-1호분이다. 환두대도가 나온 걸로 보아 묻힌 사람은 남자로 본다. 축조연대는 오세기 후반으로 조사단이 봤다. 저 다리미가 칠성판 대용이라는 내 주장 수긍할지 모르겠지만 수긍해야 한다. 머리맡 다리미는 엎은 상태로 저 지점에 놓았다. 뭐 다리미로 머리카락 다렸나? (2016. 3. 22) *** 다리미를 위두熨斗라 한다. 그 모양이 북두칠성이라 해서 저리 부른다. 간단히 말해 다리미 자체가 북두칠성이다. 저것이 조선시대로 내려오면 등때기에 칠성판을 대는 전통으로 변모한다. 북두칠성은 죽음을 관장하는 성신星神이다. 주검과 더불어 북두칠성을 상징화한 다리미를 넣은 이유다. 내가 생각하는 고고학은 끊임없이 왜? 왜? 왜? 를 묻는 데서 출발.. 2024. 3. 23. 후끈후끈 자루까지 뜨거분 다리미, 가끔 인두로 지져도 주고 《세설신어世說新語》 챕터 20은 제목이 숙혜夙惠라, 글자 그대로는 조숙한 지혜라는 뜻이어니와, 그에 걸맞게 이에는 어린 시절 조숙함을 선보인 사람들 이야기를 모았으니, 당나라 시대 판본에서는 夙慧라 썼지만, 결국 같은 뜻이다. 이에 다섯 번째로 수록된 일화가 한강백韓康伯 어린시절 이야기라, 이에 다리미가 보인다. 생몰년이 알려지지 않은 한강백은 이름을 백伯이라 했으니 형제간 중에서도 아마도 두 번째였을 듯하고 강백康伯은 字라, 지금의 하남河南 장갈長葛 서쪽 영천潁川 장사長社사람으로, 동진東晉시대 노장老莊에 뿌리박는 현학玄學을 현창한 사람이다. 저술로 《역계사전주易繫辭傳注》가 있다. 아래 일화에서 엿보이듯이 어린시절부터 총명했지만, 집안이 가난해서 고생 좀 했으며 죽마고우라는 일화를 낳은 은호殷浩라는 사람.. 2023. 5. 19. 다리미 머리 이고 왕림하신 신라의 남성 권력자, 황남동 120호분 발굴성과 공개 금귀걸이·은허리띠 한 신라 무덤 주인은…"키 165cm 이상 남성" 김예나 / 2022-12-07 09:55:24 8일 경주 황남동 120호분 발굴 현장 설명회…"신라 문화 이해 위한 학술 가치 커"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2971613927 금귀걸이·은허리띠 한 신라 무덤 주인은…"키 165cm 이상 남성" (서울=연합뉴스) 김예나 기자 = 경주 대릉원 일원에 있는 ′황남동 120호분′은 5세기 후반에 만들어졌으며 무덤 주인은 키가 165㎝ 이상인 남성으로 추정된다는 연구 조사 결과가 나왔다. 문화재 k-odyssey.com 저 무덤 발굴소식은 두어 번 전했거니와, 발굴조사기관은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이라는 데고, 아무래도 출토유물도 많고 .. 2022. 12. 7.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