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당간지주9 당간을 어찌 볼 것인가? 당간지주. 당간은 절입구에 세워진게 아니라 경내에 세웠다. 절 입구에 세워 사찰의 경계나 법회 혹은 종파를 알리는 현수막이 아니라 도량을 장엄하는 용도였다. 축소된 폐사나 현재의 사찰 경내만 보고 절 입구에 세워졌다는 얘기는 전부 구라다. 하나만이 아니라 여러 개 세운 경우도 있다. 바로 잡아야 될 당간지주의 설명들. 우리 세대에 올바른 사용처나 설명을 정립하지 않으면 당간지주는 영원히 현수막 게시대에 불과할 것이다. *** 이상은 송광사 성보박물관 김태형 선생 글이다. 나 역시 저런 식으로 설명하는 일이 많았다. 당간은 동남아에 남아 있는 일이 제법 있는데 한국의 당간과 위치상 차이는 있다. 동남아 당간은 사찰 중심 구역에 설치된다. 다만 한국의 당간은 그에서 상당히 벗어나는 지점에 서는 일이 많아 저.. 2023. 6. 27. [안성 봉업사지] 갈대밭과 고려시대 절터 갈대밭 위로 안개가 자욱하게 가라앉은 이곳은 어디일까요? 경기도 안성시 죽산면 죽산리에 위치한 고려시대 절터, 봉업사지입니다. 1966년에 우연히 수습된 청동 유물의 명문을 통해 ‘봉업사(奉業寺)’라는 이름을 확인하면서 이곳이 고려 태조(太祖)의 진영(眞影)을 봉안한 진전사원(眞殿寺院)이었다는 것이 밝혀졌어요. 언제 처음 만들어졌는지 폐사되었는지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발굴로 출토되는 유물을 통해 여러가지를 밝혀내고 있어요. 그리고 확인된 명문기와의 기록으로 중창한 시기 등도 알게 되고 있어요. 한백문화재연구원에서 봉업사지에 대하여 조사중인데요, 올해 조사는 경기도기념물인 봉업사지를 사적으로 지정하기 위해 사역의 범위, 건물지의 명확한 성격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랍니다. 발굴은 건물지 조사의 특성상 아주 .. 2022. 11. 6. 이리 화려한데 왜 이리 쓸쓸한가? Flagpole Supports at Bomunsa Temple Site in Gyeongju A dang, or flag, was hung at the entrance of a temple. Danggan was the pole used to hold the flag for special occasions such as Buddhist ceremonies at the temple. There are two stone supports for the pole, which is called Dangganjiju in Korean. With the excavation of a piece of tile inscribed with the characters “Bomun,” this place is now know.. 2020. 4. 27. Flagpole Supports at Beopcheonsa Temple Site, Wonju 원주 법천사지 당간지주 原州法泉寺址幢竿支柱Flagpole supports on Beopcheonsa site, Wonju, Gangwondo Province 강원도 문화재자료 제20호소재지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법천리Gangwon-do Cultural Property Material No. 201 현지 안내판 설명을 존중해서 설명한다. 당간지주는 사찰 입구나 뜰에 세우는 깃[당간幢竿]을 지탱하기 위해 세운 두 개 돌기둥이며, 깃대에는 사찰의 의식이나 행사가 있을 때, 혹은 부처 및 보살의 공덕을 기릴 때 깃발을 단다. 이 당간지주는 절터 남쪽에 위치하며, 높이가 3.9m로 법천사 규모를 짐작하게 해 준다. (당간지주가 크다 해서 해당 절 또한 크다고 이해하는 방식은 문제가 있다고 본다.) 아무런 장식.. 2019. 11. 10. [발굴조사보고서] 홍천 희망리 유적 《홍천 희망리 유적洪川希望里遺跡》 -홍천 희망리 당간지주(보물 제80호) 주변유적 발굴조사- 강원고고문화연구원江原考古文化硏究院, 2019 유적은 강원도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376-26번지에 위치한다. 보물 제80호 주변에 대한 발굴조사 결과 통일신라~조선시대 유적이 드러났다. 당간지주는 땅을 파고 지주가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하기 위해 사질점토 등으로 판축하듯 흙을 겹겹이 쌓아올린 후, 대형 석재를 놓고 3단 정도 돌로 쌓았다. 강원도 홍천지역에 소재한 통일신라시대 사찰과 관련된 유적으로 당간지주와 주변에 위치한 수혈주거지가 조사되었다. 출토된 암, 수막새는 경주지역과 관련성이 지적된다. 유적이 조성된 시기는 8세기 후반~9세기 전반을 중심으로 하며, 고려 충렬왕 23년부터 33년(1297~1307)에 .. 2019. 8. 15. Buddhist Flagpole Supports with Lotus Pattern / 보문리사지 당간지주 Buddhist Flagpole Supports with Lotus Pattern at the Historic Site of a Temple in Bomun-ri, Gyeongju. Uniffied Silla Period 慶州普門里寺址幢竿支柱 / 경주 보문리사지 당간지주 photo by Oh Seyun 2019. 6. 12.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