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묘지명6 난 누군가 또 여긴 어딘가, 그 답을 찾아서 (4) 출세의 시작, 권적과 권정평 2 12세기의 다른 고려 묘지명을 보면 혹시 힌트가 나올까? 권적과 비슷한 시기를 살다 간 이들의 묘지명 몇 가지를 제시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공의 이름은 언이彦頤이고, 자字는 원로元老이며, 성은 윤씨로, 영평현인鈴平縣人이다. 증조부는 군기감軍器監을 추증받은 휘 선지先之이다. 조부는 태자대보太子大保를 추증받은 휘 집형執衡이다. 아버지는 개부의동삼사 추충좌명평융척지진국공신 수태부 문하시중 판상서병부사 영평현개국백 감수국사 상주국開府儀同三司 推忠佐命平戎拓地鎭國功臣 守大傅 門下侍中 判尙書兵部事 鈴平縣開國伯 監修國史 上柱國 휘 관瓘으로, 문숙공文肅公으로 추증되었고, 태묘太廟에 들어가 예종睿宗 묘정에 배향되었다. - 2) 돌아가신 낙랑군대부인 김씨는 경주인慶州人으로 신라 태종대왕大宗大王 김춘추金春秋의 14세손이.. 2023. 7. 2. 고려 묘지명 최고 인기 작가는 누구? 고려 후기 묘지명은 한 30%가 목은 이색(1328-1396) 작품이 아닌가 싶을 정도로 목은의 글이 많다. 물론 그가 워낙 대단한 인물이었기 때문에 그의 글을 받아 망자의 가는 길을 보다 영광스럽게 해주고 싶었기 때문이겠다. 하지만, 이색이 정치가이자 관료이기도 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과연 그에게 서로 다른 가문의 행장들을 봐가면서 이렇게 많은 산문을 쓸 시간은 있었던가 의문스럽다. 혹 아들이나 제자에게 대필을 시키지는 않았을지, 틀을 갖춰놓고 그에 맞춰서 필요한 표현이나 사건들을 끼워맞춘 것은 아닐지 궁금해지는데, 진실은 저 너머에라도 과연 있을까. *** 편집자注 *** 글, 특히 비문 잘 쓴다 소문나는 일이 달갑지만은 않아 거꾸로 생각하면 얼마나 큰 고통이겠는가? 첫째 거짓말을 해야 한다. 묘지명이.. 2023. 2. 9. 지석誌石, 저승세계로 가는 도로 안내판 지석誌石은 묘지명墓誌銘 일종이나 무덤 밖에서 여기가 누구 무덤임을 표지하는 신도비神道碑 혹은 갈기碣記碑와는 달리 무덤 안에다가 시체랑 같이 묻는 표식이라는 점에서 갈 길을 달리한다. 그 구체하는 매장 위치는 일정한 패턴이 없어 중국의 경우 현실玄室 통로 쪽에 두는 관례가 있으나 고려나 조선의 경우는 봉분 흙더미나 그 바깥 묘역에 묻는 일이 많았으니 힘께나 있는 집안에선 신도비랑 지석을 동시에 세우거나 묻었으나 아무래도 신도비 쪽이 돈이 많이 들고 또 그걸 세우는 자격에 제한도 있어 지석만 넣는 일이 많았으니 그 내막이 무엇이건 여기가 누구네 무덤임을 표식하는 구실에는 변함이 없다. 경기도박물관이 이런 지석만을 조명하는 특별전을 꾸미고선 사람들을 유혹한다. 이런 자리를 장만했다기에 자칫 무미하기 짝이 없을.. 2022. 12. 9. 일본국 견당사 길비진비吉備真備가 쓴 것으로 보이는 중국묘지명 "중국 뤄양 묘지석서 8세기 日유명학자 글씨 확인"송고시간 | 2020-01-01 08:30기비노 마키노 유묵 추정…"일본과 중국 관계 연구자료" 이 소식은 내가 우연히 중국학 전공자인 어느 구미권 사람 페이스북 포스팅에서 접한 것이니, 영어를 모국어로 쓰는 그가 인용한 자료를 보니 아래 아사히신문 영어판이었다. Ancient Chinese epitaph penned by Japanese found in ChinaTHE ASAHI SHIMBUNDecember 26, 2019 at 19:00 JST 읽어보니, 나름 설득력이 상당하다고 생각해, 보도날짜는 며칠이 지나긴 했지만, 더구나 그 묘지명이 당이 한창 융성하던 시기라, 동아시아 세계사에서도 의미가 적지 않다고 판단해서 우리 역시 다루기로 한 것이다. .. 2020. 1. 1. 요절한 딸을 향한 애끓는 영조의 한탄 화협和協은 조선 제21대 임금 영조와 그의 후궁 영빈이씨(暎嬪李氏) 소생이다. 계축년, 1733년 3월 7일 궁에서 태어난 화협은 11살에 영성위 신광수申光綏한테 시집갔다가 임신년, 1752년 11월 27일에 대사동大寺洞 집에서 죽으니, 이제 겨우 스무살이었다. 그가 죽자 영조는 딸을 위한 묘지명을 직접 지었다. 묘지명은 땅속에 묻어버리는 까닭이라 생각했음인지, 이곳에다가 필설을 토로하며 딸의 죽음을 안타까워한다. 제왕은 자고로 자기 감정을 숨겨야 한다는 강박이 있다. 하지만, 영조는 격정적이었다. 여기 영조가 딸의 죽음을 애통해 하며 피로 쓴 애도문이 있다. [崇禎三癸酉二月二十九日][御製和協翁主墓誌 墓在金谷平丘村] 앞면 第七女和協卽暎嬪所生也. 癸丑三月初七日, 生于大內. 己未封爵, 十一歲下嫁永城尉申光綏,.. 2019. 10. 7. 묘갈과 지석 죽은 이 생전 행적을 간단히 혹은 자세히 적어 무덤에 세우거나 묻는 문서로 묘갈墓碣과 지석誌石이 있다. 묘갈은 우리가 흔히 말하는 비석이라, 봉분 바깥에 주로 돌판으로 만들어 세우거니와, 조선 후기에는 가끔 철판으로 만들기도 했다. 그에 견주어 지석은 광중壙中에 묻는 것으로, 돌판 혹은 도자기 혹은 심지어 벽돌을 쓰기도 한다. 둘을 혼동하는 이가 의외로 많아, 마침 심수경(沈守慶․1516~1599)의 《견한잡록(遣閑雜錄)》에 보이는 다음 구절로 증거를 삼고자 한다. 세상에서 선조를 위하여 비명문(碑銘文)과 묘지문(墓誌文)을 지을 때는 반드시 글 잘하고 덕망이 있는 사람에게 청하는데, 혹 청하여도 얻지 못하거나 미루다 써주지 못하는 자도 많다. 비갈(碑碣)은 묘(墓) 밖에 세우고, 지석(誌石)은 묘 앞에 .. 2018. 2. 19.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