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신門神2

신다神茶와 울루鬱壘, 문신門神의 선두주자 불교에서 말하는 사천왕이며 금강역사니 팔부신중은 실은 문신門神이다. 민간에서도 이런 문신들이 있으니, 신다神荼와 울루鬱壘, 진경秦瓊과 경덕敬德, 그리고 종규鍾馗가 대표적이다. 이들은 모두가 면모가 흉맹兇猛하다. 그래야 귀신이 두려워하는 까닭이다. 신다와 울루에 대한 논급은 멀리 《논형論衡》이 인용한 《산해경山海經》에 다음과 같이 보인다. 현행 《산해경》에는 없다. “창해滄海에 도삭度朔이라는 산이 있고 그 산 위에는 큰 복숭아나무가 자라는데 그 가지는 3천리를 뻗친다. 그 가지 동북쪽을 귀문鬼門이라 하는데, 온갖 귀신이 출입하는 데다. 거기에 두 사람이 있어 한 사람은 신다神荼라 하고 다른 사람은 울루鬱壘라 하니 이들이 온갖 귀신을 감시한다. 해악을 끼치는 귀신은 붙잡아서 줄로 묶어 호랑이한테 먹이로 던져.. 2021. 2. 8.
멀고먼 부처님을 향한 길, 삼중잠금장치 채운 석굴암 석굴암을 공중에서 내려다 본 평면도다. 인터넷에서 긁어왔다. 구조를 이해한다는 차원에서 제시한다. 보다시피 석굴암은 부처님이 위치하는 원형 주실主室을 뒤쪽 후미진 곳에다가 넣고, 그 전면에 평면 방형인 전실前室을 배치했으니, 두 군데로 통하는 통로가 있다. 유의할 점은 주축 장축은 동-서 방향이라는 사실이다. 우리한테 익숙한 남북 방향이 아니다. 다시 말해 부처님은 서쪽 끝 후미진 안방에서 전실 너머 동쪽을 향한다. 더 간략화한 평면도로 역시 아무데서나 긁어왔다. 전실과 주실 통로를 비도라 했는데, 저건 어디에서 굴러먹다 온 용어인지 모르겠다. 중국 고고학 용어를 빌린다면 용도甬道라 하는 통로다. 보다시피 전실 양쪽 벽면에는 팔부신중八部神衆이라 해서, 불국토를 팔방에서 호위하는 무사 8명을 네 명씩 벽면.. 2020. 9.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