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보물선10

돈스코이 사기사건, 금붙이 욕망과 해저보물의 욕망이 빚은 파열음 앞선 글 진도 오류리 해역발굴 고려청자에서 나는 언론을 기준으로 한국고고학에서 실패를 모르는 흥행보증수표 두 가지가 있다면서, 그것이 바로 금붙이와 해저발굴이라는 말을 했다. 그에 대해 지인 한두 분이 그렇다면 "해저에서 금붙이가 발굴되면 초초대박"이라는 논조의 논급이 있었므로, 실은 이에 딱 해당하는 사건이 21세기 대한민국에서 일어났고, 그것이 한때는 대한민국을 들었다 놨다 했다. 번쩍번쩍하는 황금, 그런 유물이 바닷속에서 그득그득? 저 두 가지는 실은 언론의 욕망일 뿐만 아니라 고고학 그 자체의 욕망이기도 하다. 금붙이 발굴은 그것을 발굴조사하는 고고학도도 눈과 귀를 빼앗아 버린다. 한데 이것이 과연 언론과 고고학만의 욕망인가 하는 문제는 또 따져봐야 한다. 일반이라 해서 그 욕망이 하등 다를 바가.. 2019. 11. 30.
부산시립박물관 '한국의 수중보물' 특별전 신안선부터 십이동파도선까지…부산서 만나는 해저선박 유물송고시간 | 2019-08-12 09:2020일부터 부산박물관 '한국의 수중보물'展 통해 해양유물 480점 소개 - 8. 20 부산 남구 대연동 부산시립박물관에서 개막. ~ 10. 6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와 부산시립박물관 공동 기획 '한국의 수중보물, 타임캡슐을 열다'- 480점 출품 - 5개 전시 코너 1부 '바닷속 보물창고, 난파선을 만나다' 2부 '바닷길에서 새로운 삶과 풍요를 꿈꾸다' 3부 '흙과 불로 빚은 미학, 바닷길로 퍼지다' 4부 '바닷길로 나라의 세금을 걷다' 5부 '뱃사람들, 머나먼 항해를 떠나다' 2019. 8. 12.
Investigations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in Korea Provided by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Maritime Cultural Heritage 우리나라 수중문화재 발굴조사 현황(1976~2017) 발굴유적발굴연도발굴기관발굴문화재 성격신안선1976∼1984문화재관리국ㆍ해군(합동)중국(원) 무역선(신안선) 1척,동전 28ton, 도자기 등 22,000여점 제주 신창리1980,1983,1996문화재관리국ㆍ제주대박물관(합동)12∼13C 금제장신구류, 중국 도자기 등 태안반도1981∼1987문화재청관리국ㆍ해군(합동)고려청자 40여점, 조선백자 등(14∼17C 유물)완도 어두리 완도선1983∼1984문화재관리국고려선박 1척, 도자기 3만여 점, 선원생활용품 진도 벽파리 진도선1991∼1992국립해양유물전시관13∼14C 중국 통나무배.. 2018. 12. 27.
태안 앞바다가 바닷속 경주가 되기까지 (1) 1981년의 사건 문화재 측면에서 태안 앞바다를 요즘은 흔히 '바닷속 경주'라 부르거니와, 이곳이 그렇게 등장하는 흐름을 정리하고 싶어 우리 공장 내부 검색을 돌려봤다. 일단 검색어로는 '침몰 선박 태안 청자'를 넣어봤다. 그 결과를 추리기 전에 하나 해둘 말이 있다. 첫째, 우리 공장 기사 DB화가 90년대 중반 이전에는 얼마나 철저한지 현재로서 내가 확인키는 힘들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1980년 언론 통폐합에 따른 연합통신(현재의 연합뉴스) 출범 이후 초반기 대략 15년 정도 구축한 기사 DB에는 구멍이 숭숭 뚫렸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을 우선 말해둔다. 다음으로, 다른 검색어들로 같은 작업을 진행할 때는 다른 결과가 나올 수도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었으면 한다. 그럼에도 이 작업 결과는 태안 앞바다가 '바닷속 경주'.. 2018. 12.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