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부여나성8 사진으로 보는 부여 능산리 유적 몇 장면 능산리사지陵山里寺址 사역寺域 발굴상황을 논할 때 항용 인용하는 국립부여박물관 사진이다. 부여박물관이 펴낸 발굴보고서에도 그대로 수록됐다. 이거 합성이다. 능산리사지가 이렇게 한꺼번에 노출된 적은 없다. 하지만 이 장면이 합성이란 사실은 보고서 어디에도 없다. 자칫 역사 조작 논란을 부를 만한 사안이다.합성임을 밝혔어야 한다. 이 사진은 지금은 세종문화재연구원 실장으로 있는 진성섭이 했으며, 실제 맨손 발굴은 조사연구단장 at 서라벌문화재연구원인 차순철이 했다. 뽀샵은 은폐만이 아니라 폭로 기능도 있다. 부여와 논산을 연결하는 도로는 식민지시대에 개설되었다.이 부여논산가도는 백제사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결정타였거니와 이 도로 개설을 즈음해 비로소 부여 나성이 속살을 드러냈다. 나아가 가도가 지나는.. 2019. 6. 8. Baekje Bodhisattva from Buyeo Naseong Fortress, 백제금동보살상 부여나성 구간 중 북나성 구간 시굴조사서 수습한 백제시대 금동보살상 파편. 아까비 fragment of guilt bronze bodhisattva from the late baekje dynasty period (probably the 7th century), excavated from north buyeo city wall Taeshik KimMay 31, 2017 2019. 6. 1. 이전 1 2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