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상량문3

심곡서원과 친일파 한규복(韓圭復) 정암 조광조 선생을 모신 심곡서원(深谷書院)은 1985년, 1992년 두 차례 소장 전적을 도난당해서 남아 있는 자료가 많지 않다. 그렇지만 심곡서원 강당 안에는 송시열이 찬한 1673년 강당기(講堂記), 1730년 숙종대왕 어제(肅宗大王 御製), 도암 이재(李縡, 1680~1746)가 원장으로 취임하여 제정한 1747년 심곡서원 본원 학규(本院 學規) 등 심곡서원의 역사를 알 수 있는 편액들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1931년과 1933년 심곡서원 중건 당시를 기록한 중건 상량문 편액과 조광조 선생이 심었다고 전해지는 은행나무를 소재로 지은 한시 ‘행수가(杏樹歌)’ 편액이 남아 있는데, 찬자는 한규복(韓圭復, 1881~1967)이란 사람이다. 한규복은 일제강점기 대표적인 친일반민족행위자 중 한 사람이다.. 2024. 3. 5.
평양 대동문 상량문 일제강점기 평양 대동문을 해체하면서 나온 상량문. 숭정 8년 을해에 대들보를 올렸다니 1635년, 병자호란 직전의 일이었다. 상량문을 쓴 사람은 단군전 참봉 강우성. 그런데 여기 보면 '도령'과 '도서기', '재목작류 겸 감조도총섭', '간사'가 '승' 아무개, 곧 스님이었다고 나온다. 건축가라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지 몰라도, 적어도 승려들이 이런 큰 건물을 짓는 데 많은 역할을 하고 있는 것이다. 연말에 중박에서 하는 승려장인전에서 이러한 점도 다룰는지 모르겠다. (2021. 6. 29) 2022. 6. 29.
할아버지 오래된 수첩 속 이야기-박물관 정각(최종) 성건당(省愆堂) 여초 김응현(如初 金膺顯, 1927-2007) 선생의 글씨 여초선생이 편액을 짓고 쓰기 된것에는 박물관과 관계된 분이 추천을 하여 신탁근 선생이 직접 만나 의뢰를 하게 되었고, 여초선생이 박물관을 둘러보고 '성건당(省愆堂)'이라 정각의 이름을 짓고, 편액을 쓰게 되었다. 여초선생은 한국 서예계 원로로 근현대 서예계 대가 중 한 사람으로, 둘째형인 일중(一中) 김충현(金忠顯), 셋째형인 백아(白牙) 김창현(金彰顯)과 함께 형제 서예가로도 유명하다. 처음 정각 이름을 '완월정(玩月亭)'이라고 불렀다가 추후 여초선생이 '성건당(省愆堂)'이라 지어 그리 바꾸었다. 상량고사를 지낼 당시 상량문에 '온양민속박물관 완월정'이라 적은걸 확인할 수 있다. "할아버지! 그런데 저 한자는 뭐라고 읽나요? 정.. 2019. 10.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