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성저십리3 서울 사람은 누구일까 박물관에서 일하면서야 알게 되었다. ‘서울 토박이회’라는 것이 있다고. 처음에는 별 생각 없이 ‘아. 서울에 오랫동안 살았던 사람들의 모임인가보다' 했는데, 생각보다 까다로운 기준이 있었다. ‘서울 사대문 안, 그리고 사대문 밖 10리 이내’에서 3대 이상 거주했던 사람만이 그 기준에 부합되는 사람이었던 것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되었을 무렵, ‘서울사람, 김주호’라는 작은 전시를 박물관 로비에서 하게 되었다. 평범한 서울사람인 김주호씨에 대한 일상사로 서울의 이야기를 본다는 취지의 전시였다. 전시는 김주호씨의 개인적인 이야기를 담고 있었지만, 한편으로는 서울의 이야기와 사람들의 생활사를 담고 있었다. 나도 상당히 흥미롭게 보았고, 전시를 보러 오신 분들의 반응도 좋았다. 그런데 역시나 고질병이 또 도졌다.. 2024. 2. 25. 용산, 한양으로 가는 길목 Yongsan, the gateway to Hanyang 한양의 길목 용산 Yongsan, the gateway to Hanyang 조선시대 용산은 도성 서쪽의 무악산, 오늘날의 안산에서 남쪽으로 뻗어나간 산줄기와 한강으로 둘러싸인 지역을 아울렀다. 그 구불구불한 능선이 한강에 이르러 봉우리를 형성하는데 전체적인 형세가 용을 연상시킨다 하여 용산이라 이름 불었다. 건국 초기 용산은 명확히 한양 땅은 아니었다. 당시 한양의 경계는 도성이었다. 다만 수도 한양을 관할한 관청 한성부는 도성과 함께 도성으로부터 10리(약 4km)에 이르는 성저십리城底十里까지 관할했다. 용산은 이 성저십리에 해당했다. 도성 밖 한적한 강변 마을이었던 용산에 물길 따라 포구가 발달하면서 삼남三南을 오가는 대로가 용산에서 갈라졌고, 각 지역의 세곡이 용산에서 집결되어 도성 안으로 운반됐다.. 2023. 5. 22. 성저십리城底十里, 도성밖의 도성 조선시대 수도 서울의 범위는 한양 도성으로부터 10리(약 4.5Km)로 삼았다. 대체적인 범위는 알고 있었으나 그게 법에 정해져 있는 것을 아는 분은 많지 않다. 물론 이도 조선 전후기에 약간 차이가 있긴 하다. 일단 이 법 조문을 바탕으로 설정한 이후 조선 전후기 성저십리를 증손하면 정확한 지도가 완성될 것이다. 《대전통편(大典通編_》 〈형전(刑典) 금제(禁制)〉 ○ 도성 10리 안【동쪽으로 대보동(大菩洞)·수유현(水踰峴)·우이천(牛耳川)·상벌리(上伐里)와 하벌리(下伐里)·장위(長位)·송계교(松溪橋)에서 중량포(中梁浦)까지 시내를 한계로 삼는다. ○ 남쪽으로 중량포(中梁浦)·전관교(箭串橋)·신촌(新村)·두모포(豆毛浦)에서 용산(龍山)까지의 시내와 강을 한계로 삼는다. ○ 북쪽으로 대보동(大菩洞)·보현봉.. 2020. 10. 28.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