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신라왕경5

초거대 사찰 옆에 있어 억울한 미탄사, 누군가 저택을 희사했다? 미탄사味呑寺라는 사찰은 꼴랑 한 번 모습을 들이밀고는 영원히 사라지고 만다. 것도 역사상 저명한 인물을 소개하는 자리에 곁다리로 잠깐 고개를 들이밀었다가 말이다. 삼국유사 권1, 기이紀異 1편, 신라시조 혁거세왕 이야기에 이르기를 ‘최치원은 본피부 사람이다. 지금 황룡사 남쪽 미탄사 남쪽에 [그가 살던 집] 옛 터가 있다. 이것이 최후崔候(최 문창후-최치원)의 옛집이 분명하다.’ 이것이 전부다. 실제 미탄사 자리가 어딘지는 실상 오리무중이었다. 다만, 황룡사 남쪽이라 했고, 또 그 남쪽 인접 지점 드넓은 경주평야 한가운데 누가 봐도 신라시대 흔적인 삼층석탑이 우람하게 있어 이곳이 미탄사 터일 것이라는 심증만 있었다. 그런 심증은 이후 이 일대에 진행한 발굴조사를 통해 이를 뒷받침하는 증거가 포착됨으로써 .. 2023. 6. 29.
신라왕경을 장안성 평원경에 끼워맞추지 마라! 신라 왕경 연구가 왜 계속 헛다리 짚는가 하면 동아시아 맥락이라는 그럴 듯한 시각에서 툭하면 장안성 갖대 대고 평원경 갖다 대서 그렇다. 신라 왕경은 혁거세 건국 이래 천년간 단 한 번도 이동없이 그 천년간 간단없이 변모했으며, 시종 개발 압력에 시달렸으니 그 획기가 법흥왕 무렵이었거니와, 이 시절이 되면 이미 경주 분지내는 왕릉조차 쓸 땅이 없어(이는 말할 것도 없이 묘지가 늘어나서가 아니라, 주거 개발 압력 때문이었다!!!! 이걸 모르니 헛소리가 남발한다.) 외곽으로 튀어나갈 수밖에 없었다. 천년간 옴짝달짝도 못한 채 편의에 따라 변모한 경주 왕경을 제정신 박힌 놈이면 걸핏하면 신왕조 개창했으니 새술은 새부대를 외치며 허허벌판 찾아나서 LH 동원해 북극성에다가 딱 중심을 맞춘 다음, 그것을 기점으로 .. 2022. 12. 21.
월성에서 전랑지로 이어졌으리라는 경주 신라왕경 남북대로 신라 왕궁 북문으로 들어가는 남북대로 찾았다 송광호 / 2022-12-21 10:07:54 폭 20m, 잔자갈 바닥에 깔아…대로 서북쪽에서 배수로도 확인 https://k-odyssey.com/news/newsview.php?ncode=179543576370173 신라 왕궁 북문으로 들어가는 남북대로 찾았다 (서울=연합뉴스) 송광호 기자 = 발천은 ′경주 동궁과 월지′에서 월성 북쪽과 계림을 지나 남천으로 흐르는 하천이다. 신라 시조 박혁거세 왕의 비인 알영이 발천에서 겪은 일화가 ′삼국유사 k-odyssey.com 이번 조사 성과는 앞 첨부한 기사를 참조했으면 하고, 우선 도판으로 이번 성과를 정리한다. 좀 생각할 여지가 있다. 신라 왕경론은 피력할 기회를 엿보겠다. #신라왕경 #월성 #남북대로 #발천 2022. 12. 21.
21세기 경주 농경지 구획은 천오백년 전 신라시대 도시구획이다 경주 분지 중앙을 기준으로 동쪽에 정좌한 낭산은 해발이라 해 봐야 기껏 99.5m에 지나지 않는 야산이지만, 신라시대에 신성히 여긴 곳 중 하나라, 그런 흔적이 지금도 곳곳에 남았으니 선덕여왕릉을 중심으로 사천왕사와 창림사, 능지탑, 그리고 황복사지 삼층석탑이 그것을 웅변한다. 간단히 말해 그 반대편 서악 선도산이 그렇듯이 이곳 역시 귀신을 위한 공간이었다. 그런 까닭에 그 능선을 중심으로 사후 추념 공간이 집중으로 들어섰다. 다만 그 주변 일대가 구체로 어떤 양상인지는 제대로 된 조사가 없었으니, 이걸 일변한 것이 신라시대에는 황복사라는 절이 있었다고 간주하는 주변 구역에 대한 조사였다. 이건 자료를 뒤져봐야겠지만, 예서 그럴 계제는 아니고 본론에는 벗어나므로, 2000년대 이래 경주시에 의한 발굴조사.. 2022. 6. 6.
[학술대회소식] 국립경주박물관 신라학 국제심포지엄 <금성의 남산과 평성경 동산> 2019년 가을 경주에서 열리는 학술대회 소식 국립경주박물관 신라학 국제심포지엄인 〈금성金城의 남산南山과 평성경平城京[헤이죠쿄] 동산東山 - 왕경王京 주변의 산림사원에 대한 한일 비교 -〉 그동안 국내에서 많이 다루어지지 않았던 산지가람山地伽藍에 대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고대국가의 도성 주변에 입지한 사찰에 대해서 여러 논고가 발표될 예정입니다. 2019. 8. 1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