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진흥왕43

아버지들이여, 제때 죽어주자! 고구려 장수왕(長壽王)은 이름대로 백수를 했다. 그의 아들로 세자는 조다(助多). 아버지가 무려 왕위에만 79년간 있다 죽었을 때 조다는 죽고 없었다. 조다 아들이 왕위를 계승하니 그가 문자명왕이다. 아버지가 하도 왕 노릇 오래하는 바람에 먼저 죽었으니 이름 그대로 쪼다가 되어 버렸다. 그보단 못하지만 조선 세종 역시 장장 32년이나 왕위에 있었다. 문종은 세종의 장자로 아버지가 재위 3년째인 1421년에 세자로 책봉되었다. 이때만 해도 아버지 세종은 모든 실권은 아버지 이방원에게 그대로 두어야 했다. 그러니 세종이 왕위에 재위한 기간과 문종이 세자로 있은 기간은 같다. 내가 놀랍기만 한 것은 이 긴 기간 문종이 내리 죽죽 세자로 있었다는 점이다. 세자나 태자 생활은 왕보다 더 힘들다. 언제건 틈만 나면.. 2018. 3. 13.
비태(比台) 진흥왕 12년(551), 신라가 백제와 합세해 한강 유역을 고구려에서 점령할 때 신라군 수뇌진 8장군 중 한 명이다. 당시 관위는 2등 각찬이었다. 나아가 화랑세기 미진부공 전에는 보이는 비대(比臺)와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크다. 臺는 약자로 흔히 台를 쓰는 데다 발음 역시 매우 가깝기 때문이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거칠부 열전 : (진흥대왕) 12년 신미(진흥왕 12년: 551)에 왕이 거칠부와 대각찬(大角) 구진(仇珍), 각찬 비태(比台), 잡찬 탐지(耽知), 잡찬 비서(非西), 파진찬 노부(奴夫), 파진찬 서력부(西力夫), 대아찬 비차부(比次夫), 아찬 미진부(未珍夫) 등 여덟 장군에게 명하여 백제와 더불어 고구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백제 사람들이 먼저 평양(平壤)을 격파하고 거칠부 등은.. 2018. 3. 5.
탐지(耽知) 진흥왕 12년(551), 신라가 백제와 합세해 한강 유역을 고구려에서 점령할 때 신라군 수뇌진 8장군 중 한 명이다. 당시 관위는 3등 잡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4 신라본기4 진흥왕 : 15년(553) 가을 7월에 명활성(明活城)을 수리하여 쌓았다. 백제 왕 명농[성왕]이 가량(加良)과 함께 관산성(管山城)을 공격해 왔다. 군주 각간 우덕(于德)과 이찬 탐지(耽知) 등이 맞서 싸웠으나 전세가 불리하였다. 신주(新州) 군주 김무력이 주의 군사를 이끌고 나아가 교전함에 비장(裨將) 삼년산군(三年山郡)의 고간(高干) 도도(都刀)가 급히 쳐서 백제 왕을 죽였다. 이에 모든 군사가 승세를 타고 크게 이겨, 좌평(佐平) 네 명과 군사 2만 9천6백 명을 목베었고 한 마리의 말도 돌아간 것이 없었다. 삼국사기 권 .. 2018. 3. 5.
노부(奴夫) 진흥왕 12년(551), 신라가 백제와 합세해 한강 유역을 고구려에서 점령할 때 신라군 수뇌진 8장군 중 한 명이다. 당시 관위는 4등 파진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거칠부 열전 : (진흥대왕) 12년 신미(진흥왕 12년: 551)에 왕이 거칠부와 대각찬(大角) 구진(仇珍), 각찬 비태(比台), 잡찬 탐지(耽知), 잡찬 비서(非西), 파진찬 노부(奴夫), 파진찬 서력부(西力夫), 대아찬 비차부(比次夫), 아찬 미진부(未珍夫) 등 여덟 장군에게 명하여 백제와 더불어 고구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백제 사람들이 먼저 평양(平壤)을 격파하고 거칠부 등은 승리의 기세를 타서 죽령 바깥, 고현(高峴) 이내의 10군을 취하였다. 2018. 3. 5.
서력부(西力夫) 진흥왕 12년(551), 신라가 백제와 합세해 한강 유역을 고구려에서 점령할 때 신라군 수뇌진 8장군 중 한 명이다. 당시 관위는 4등 파진찬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거칠부 열전 : (진흥대왕) 12년 신미(진흥왕 12년: 551)에 왕이 거칠부와 대각찬(大角) 구진(仇珍), 각찬 비태(比台), 잡찬 탐지(耽知), 잡찬 비서(非西), 파진찬 노부(奴夫), 파진찬 서력부(西力夫), 대아찬 비차부(比次夫), 아찬 미진부(未珍夫) 등 여덟 장군에게 명하여 백제와 더불어 고구려를 침공하게 하였다. 백제 사람들이 먼저 평양(平壤)을 격파하고 거칠부 등은 승리의 기세를 타서 죽령 바깥, 고현(高峴) 이내의 10군을 취하였다. 2018. 3. 5.
법장(法藏) 마운령신라진흥왕순수비(磨雲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 진흥왕 29) : 태창(太昌) 원년 세차(歲次) 무자(戊子) ▨▨ 21일 ▨▨ ▨흥대왕(▨興大王)이 ▨▨를 순수하여 돌에 새겨 기록한다. …수레를 타고 나가 10월2일 계해(癸亥)에 이르러 … 인하여 변계(邊堺)지역을 설유(說諭)하였다. …이 때 어가를 수행한 자로 사문(沙門) 도인(道人)은 법장(法藏)과 혜인(慧忍)이다.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黃草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년. 진흥왕 29) : …8월21일 계미(癸未)에 진흥태왕(眞興太王)이 관경(管境)을 ▨▨하고 돌에 새겨 기록한다. …이에 무자년(戊子年) 가을 8월에 관경(管境)을 순수하고 민심을 살펴 노▨(勞▨)에 보답하고자 한다. ⋯이때 어가를 수행한 이는 다음과 같다. 사문도인(沙門道人)으로.. 2018. 2. 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