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측량9

유길준의 측량학교 근대는 빗금에서 선으로의 이동이다. 프론티어 frontier 와 보더라인 borferline 의 차이거니와 Borderline을 긋기 위한 필요조건이 측량 메저먼트다. 유길준이 하필 측량학교를 세웠겠는가? 수탈? 개소리에 지나지 않는다. (2018. 5. 6) *** 누누이 지적했듯이 근대국가는 측량과 인구센서스 이 둘을 축으로 그릇을 만든다. 측량은 경계의 확정이라 그 경계는 모호함이 없어야 한다. 이 모호함은 빗금에서 탄생하니 그 모호는 선을 그어서 쟁투의 빌미를 차단한다. 이 측량을 기반으로 지도가 완성된다. 인구센서스는 결국 징발을 위한 기초단위다. 세금을 얼마를 거두며 군대 노동력은 어찌 징발할 것인지는 성별 연령별 통계가 있어야 한다. 이를 수탈이라는 측면에서 이해했다. 그 주체가 대한제국이건.. 2021. 5. 6.
측량과 통계...근대로의 두 견인차 이 두 가지 없이 근대국가는 있을 수 없다. 측량이 지닌 중요성은 다른 글에서 언급했으므로 재론하지 않거니와 통계는 왜 중요한가? 과세와 노동력 군대 징발의 기초가 되기 때문이다. 통계 중에서도 인구 센서스는 핵심 중의 핵심이다. 이 인구 센서스가 조선시대에도 있었다. 하지만 나이롱 뽕이었다. 황구첨정黃口簽丁이니 족징族徵이니 뭐니 해서 개판이었으니, 죽은 놈을 살아있다 하는가 하면, 산 놈을 죽었다 하고, 아들 많은 집에서는 아들 숫자는 줄였다. 왜? 인두세가 과세의 표준이었으니, 사람 숫자에 따라 세금이 왔다갔다 하고 군대 가는 숫자가 정해졌다. 근대적인 통계는 이 넒나듦에 대한 퇴출이었다. 센서스가 도입됨으로써 비로소 과세 표준과 노동력 징발의 기준의 확립되었다. 조선시대 인구가 천만이니 천오백만이니.. 2019. 6. 24.
어플이 밀어낸 화초사전 묵직한 올컬러 사전이 신간으로 배달되었으니, 살피니 화초사전이라. 중년 남자들한테는 돌씽의 로망을 심어준다는 어느 티브 프로그램 《나는 자연인이다》든가? 그에 출연하는 산사람들은 누구나 구비하더라. 각종 화려찬란한 사진으로 우리가 흔히 접하는 화초 종류와 그 습생을 정리했거니와, 글쎄다. 저 자연인들 말고 저처럼 무거운 책자 이젠 관상용 완상용 아닌가? 사진 한장 찍어 화초 이름 알려주는 어플에 얹이면 그 꽃 그 식물 그 나무 단박에 아는 시대를 우리는 산다. 저런 사전류 책자 일일이 들춰보며, 무슨 꽃인지 궁구하는 과정이 如컨대 치매 예방이니 하는데 도움이 썩 되지 않을 것은 아니로대, 종래와 비교하면 저 꽃이 무슨 꽃이며, 저 식물이 무슨 식물인지 몰라 궁금 혹은 의아로 남겨둔 것들을 순식간에 어플 .. 2019. 3.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