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19408 김개지문(金皆知文) 태종무열왕 김춘추가 김유신 맞누이 동생 보희를 첩으로 맞아들여 낳은 서자. 벼슬은 9위 급간(級干)을 역임했다. 화랑세기 18세 춘추공 전 : 보희(寶姬)는 (문희文姬와) 꿈을 바꾼 일을 후회하여 다른 사람에게 시집가지 않았다. (춘추)공이 이에 (보희를) 첩으로 삼아 아들 지원(知元)과 개지문(皆知文)을 낳았다. 이는 《문명황후사기(文明皇后私記)》에 보인다. 삼국유사 권2 기이 2 태종춘추공 : 태자 법민(法敏)·각간(角干) 인문(仁問)·각간 문왕(文王)·각간 노차(老且)·각간 지경(智鏡)·각간 개원(愷元) 등은 모두 문희가 낳은 아들이니 전날에 꿈을 산 징조가 여기에 나타난 것이다. 서자(庶子)는 개지문(皆知文) 급간(級干)과 거득령공(車得令公)·마득(馬得) 아간(俄間)이다. 딸까지 합치면 모두 다섯.. 2018. 3. 24. 강심(江深) 생몰년 미상. 신라인. 신라가 당군과 연합해 고구려 정벌에 나선 문무왕 7년(667), 당군과 협력해 고구려 정벌에 나설 당시 이동혜 촌주이자 대나마로서 당군과 메신저 역할을 했다. 삼국사기 권 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 : 7년(667)…가을 8월에 왕이 대각간 김유신 등 30명의 장군을 거느리고 서울을 출발하였다. 9월에 한성정(漢城停)에 도착하여 영공(英公)을 기다렸다. 겨울 10월 2일에 영공이 평양성 북쪽 200리 되는 곳에 도착하여 이동혜(=同兮) 촌주 대나마 강심(江深)을 뽑아 보내었는데, 거란 기병 80여 명을 이끌고 아진함성(阿珍含城)을 거쳐 한성에 이르러 서신을 전하고 군사 동원 기일을 독려하니 왕이 그에 따랐다. 11월 11일에 장새(獐塞)에 이르러 영공이 돌아갔다는 말을 듣고 왕의.. 2018. 3. 24. 인태(仁泰) ☞김인태(金仁泰) 2018. 3. 24. 김인태(金仁泰) 태종무열왕 김춘추와 용태(龍泰) 사이에서 난 아들이다. 아버지가 즉위하자 각간이 됐고, 백제를 멸하고는 그곳에 진주했다. 고구려 정벌전쟁에는 장군으로 출전했다. 화랑세기 13세 용춘공(龍春公) 전 : (용춘의) 서자 5인 중 용산(龍山)과 용석(龍石)은 대씨(大氏)가 낳았다. 용귀(龍貴)는 미생공의 딸 매생(梅生)이 낳았다. 용주(龍珠)와 용릉(龍凌)은 비보랑공의 딸 홍주(紅珠)가 낳았다. 서녀 18인 중 용산의 누이 용태(龍泰)는 태종을 섬겨 인태(仁泰) 각간을 낳았다. 삼국사기 권제5(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 2년(655) 봄 정월에…고구려가 백제ㆍ말갈과 더불어 군사를 연합하여 우리의 북쪽 변경을 침략하여 33성을 탈취하였으므로, 왕이 당나라에 사신을 보내 구원을 요청하였다. 3월에 당나라가 영.. 2018. 3. 24. 즙항세(汁恒世) 생몰년 미상. 신라인. 나당 연합군에 의한 고구려 정벌을 앞둔 문무왕 7년(667) 대나마로서 당에 사신으로 파견됐다. 이 때 임무는 아마도 고구려 정벌 계획과 관련이 있을 듯하지만, 더 이상 자세한 사정이나, 그에 대한 행적을 알 수는 없다. 삼국사기 권 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 : 7년(667) 가을 7월에…당나라 황제가 칙명으로 지경(智鏡)과 개원(愷元)을 장군으로 삼고 요동의 싸움에 나아가게 하였다. 왕이 곧 지경을 파진찬, 개원을 대아찬으로 삼았다. 또 황제가 대아찬 일원(日原)을 운휘장군(雲麾將軍)으로 삼았는데, 왕은 [일원에게] 명하여 칙명을 왕궁의 뜰에서 받도록 하였다. 대나마 즙항세(汁恒世)를 당나라에 보내 조공하였다. [당] 고종이 유인원과 김인태(金仁泰)에게 명하여 비열도(卑列道).. 2018. 3. 24. 김생(金生) 711~?. 중대 신라를 대표하는 명필. 각종 자체에 입신의 경지에 들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여든살 넘어서도 붓을 쉬지 않았다는 말로 보아 장수했다. 삼국사기 권 제48 (열전 제8) 김생 열전 : 김생(金生)은 부모가 한미하여 그 가문의 계보를 알 수 없다. 경운(景雲) 2년(聖德王 10: 711)에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글씨에 능하여 평생토록 다른 기능은 공부하지 않았다. 나이가 80이 넘어서도 오히려 붓을 잡고 쉬지 않았다. 예서(隸書), 행서(行書)와 초서(草書)를 씀에 모두 입신(入神)의 경지였다. 지금[고려]까지도 흔히 그의 친필이 있어 학자들이 서로 전하여 보배스럽게 여긴다. 숭녕(崇寧) 연간에 학사(學士) 홍관(洪灌)이 진봉사(進奉使)를 따라 송나라에 가 변경(京)에 묵고 있었는데, 그때 .. 2018. 3. 24. 김양(金陽)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희강왕 : 희강왕(僖康王)이 왕위에 올랐다. ...이보다 앞서 흥덕왕이 죽자 그의 사촌 아우[堂弟] 균정과 [다른] 사촌 아우의 아들 제륭이 모두 임금이 되고자 하였다. 이에 시중 김명과 아찬 리홍(利弘)·배훤백(裵萱伯) 등은 제륭을 받들었고, 아찬 우징(祐徵)은 조카 례징(禮徵) 및 김양(金陽)과 함께 그의 아버지 균정을 받들어 한꺼번에 궁궐로 들어가 서로 싸웠다. 김양이 화살에 맞아 우징 등과 함께 도망해 달아나고 균정은 살해되었다. 그런 다음에 제륭이 왕위에 오를 수 있었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민애왕 : 민애왕(閔哀王)이 왕위에 올랐다. ...2월에 김양(金陽)이 군사를 모아서 청해진에 들어가 우징(祐徵)을 찾아뵈었다. 아찬 우징은 청해진에 .. 2018. 3. 24. 주원(周元) ☞김주원(金周元) 2018. 3. 24. 정여(貞茹) ☞김정여(金貞茹) 2018. 3. 24. 김정여(金貞茹) 태종무열왕 김춘추 9세손으로 파진찬까지 올랐으며, 김양의 아버지다. 삼국사기 권 제44 (열전 제4) 김양 열전 : 김양(金陽)은 자가 위흔(魏昕)이고, 태종대왕 9세손이다. 증조는 이찬 주원(周元), 할아버지는 소판 종기(宗基), 아버지는 파진찬 정여(貞茹)이니 세력있는 집안으로써 모두 장수와 재상이 되었다. 2018. 3. 24. 균정(均貞) ☞김균정(金均貞) 2018. 3. 24. 제륭(悌隆) 삼국사기 열전 2018. 3. 24. 예징(禮徵) ☞례징(禮徵) 2018. 3. 24. 례징(禮徵) 삼국사기 열전 2018. 3. 24. 김명(金明) 삼국사기 열전 2018. 3. 24. 리홍(利弘) 삼국사기 열전. 2018. 3. 24. 이홍(利弘) ☞리홍 ☞김리홍 2018. 3. 24. 우징(祐徵) ☞김우징(金祐徵) 2018. 3. 24. 장변(張弁) 삼국사기 열전 2018. 3. 24. 정년(鄭年) 신라말 군인으로 장보고 친구이자 심복이다. 가문 내력은 알려진 바가 없지만, 한미한 섬사람 출신인 듯하다. 장보고와 함께 당으로 건너가 군인으로 명성을 떨쳤다. 장보고가 먼저 귀국해 청해진 대사가 되자, 나중에 그에 합류했다. 장보고가 김우징을 도와 민애왕과 싸울 때 몸소 출전해 왕을 죽이는 공을 세웠다. 장보고가 중앙정계로 진출하자 그를 대신해 청해진을 지켰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민애왕 : 민애왕(閔哀王)이 왕위에 올랐다. …2월에 김양(金陽)이 군사를 모아서 청해진에 들어가 우징(祐徵)을 찾아뵈었다. 아찬 우징은 청해진에 있으면서 김명이 왕위를 빼앗았다는 소문을 듣고 청해진 대사 궁복에게 말하였다.…드디어 군사 5천 명을 나누어 그의 친구 정년(鄭年)에게 주면서 말하기를 “그대가 .. 2018. 3. 24. 정련(鄭連) 장보고와 함께 활동한 신라말 군인. 정년(鄭年)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권 제44(열전 제4) 장보고·정년 열전 : 장보고(張保皐)와 정년(鄭年)은 모두 신라 사람인데, 그들의 고향과 아버지 할아버지를 알 수 없다. ☞정년(鄭年) 2018. 3. 24. 이전 1 ··· 863 864 865 866 867 868 869 ··· 92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