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20085 현여(玄如) 신라 말기 승려다. 헌강왕 9년(883), 보문사에 대덕으로 주석하면서, 그 옛날 김유신이 건립한 석탑을 수리하는 일을 주관했다. 기타 행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중수하고자 하여……보문사(普門寺) 현여(玄如) 대덕이 무구정광경에 의거해 작은탑 77기를 만들고 진언(眞言) 77벌을 써서 대탑에 봉안했다. 그리고 집집마다 신묘한 보배를 갖고 .. 2018. 3. 4. 유신(裕神) ☞김유신(金裕神) ☞김유신(金庾信) 2018. 3. 4. 김유신(金裕神) 신라 하대 금석문인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에 등장하는 표기로 김유신(金庾信)을 말한다. 발음이 같은 '裕神'이라 쓴 까닭은 피휘(避諱) 때문이다. 이 무렵 김유신은 이미 흥무대왕으로 추봉된 까닭에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는 없어, 같은 발음 한자 중에서도 그 신성성을 발휘할 글자만을 골라 '裕神'이라 쓴 것이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2018. 3. 4. 굴정차(屈丁次) 진흥왕 시대 비석 중 하나인 북한산비에 왕을 따라 북한산을 순수한 신라 관료 중 한 명이다. 이때 관위는 나말(奈末)이었다. 다른 행적은 파악되지 않는다. 북한산 비봉 신라 진흥왕 순수비(北漢山碑峰新羅眞興王巡狩碑·568년·진흥왕 29 이후) : 진흥태왕(眞興太王)과 뭇 신하들이 ▨▨을 순수(巡狩)할 때 기록하다. (왕을 수행한 신하들로는) …내부지(內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과 남천군주(南川軍主) 사탁(沙喙) … 부지(夫智) 급간(及干)과 미지(未智) 대나▨(大奈▨)와 ▨▨▨ 사탁(沙喙) 굴정차(屈丁次) 나▨(奈▨)다. 2018. 3. 4. 미지(未智) 신라 진흥왕 시대 금석문인 북한산비에 대나마로 등장한다. 같은 진흥왕 시대 다른 금석문들인 마운령비나 황초령비에 왕을 수행한 관료 중 한 명으로, 이때 관위 역시 대나마이나 표기가 '未知(미지)'로 약간 다르지만, 이 무렵 신라에서는 '知'와 '智'는 항용 혼용하므로 같은 인물임에는 틀림없다. 북한산 비봉 신라 진흥왕 순수비(北漢山碑峰新羅眞興王巡狩碑·568년·진흥왕 29 이후) : 진흥태왕(眞興太王)과 뭇 신하들이 ▨▨을 순수(巡狩)할 때 기록하다. (왕을 수행한 신하들로는) …내부지(內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과 남천군주(南川軍主) 사탁(沙喙) … 부지(夫智) 급간(及干)과 미지(未智) 대나▨(大奈▨)와 ▨▨▨ 사탁(沙喙) 굴정차(屈丁次) 나▨(奈▨)다. cf. .. 2018. 3. 4. 복동지(服冬知) 황초령비에 등장하는 신라시대 관료다. 같은 해 세운 마운령비에서는 '服冬智(복동지)'라고 보이니, 같은 인물이다. 이를 통해 이 무렵 신라에서는 적어도 발음으로는 '知'와 '智'가 통했음을 추측한다. 같은 진흥왕 시대 금석문으로 561년 건립한 창녕비에 사척간(沙尺干)이자 군주(軍主)로 나오는 '복등지(福登知)'와 같은 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이들은 나아가 진평왕 부인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 아버지인 갈문왕 '복승(福勝)'과도 활동연대가 대략 겹치는 것으로 보아 동일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황초령신라진흥왕순수비(黃草嶺新羅眞興王巡守碑. 568년. 진흥왕 29) : …8월21일 계미(癸未)에 진흥태왕(眞興太王)이 관경(管境)을 ▨▨하고 돌에 새겨 기록한다. …이에 무자년(戊子年) 가을 8월에 관경(管境)을 .. 2018. 3. 4. 마질지(麻叱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촌주(村主) 망총지(奀聰智) 술간(述干)과 마질지(麻叱智) 술간(述干)이 있다. 2018. 3. 3. 망총지(奀聰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촌주(村主) 망총지(奀聰智) 술간(述干)과 마질지(麻叱智) 술간(述干)이 있다. 2018. 3. 3. 도지(導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비에 새길 글자를 쓴) 서인(書人) 사탁(沙喙)의 도지(導智) 대사(大舍)가 있다. 2018. 3. 3. 멱살지(覓薩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비자벌정(比子伐停) 조인(助人) 탁(喙)의 멱살지(覓薩智) 대나말(大奈末)가 있다. 2018. 3. 3. 덕문형(德文兄)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위인(▨爲人)으로는 탁(喙)의 덕문형(德文兄) 나말(奈末)가 있다. 2018. 3. 3. 수정부지(須仃夫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는)…우추실▨▨서아군(于抽悉▨▨西阿郡) 사대등(使大等)으로 탁(喙)의 북시지(北尸智) 대나말(大奈末)과 사탁(沙喙)의 수정부지(須仃夫智) 나▨(奈▨)가 있다. 2018. 3. 3. 북시지(北尸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는)…우추실▨▨서아군(于抽悉▨▨西阿郡) 사대등(使大等)으로 탁(喙)의 북시지(北尸智) 대나말(大奈末)과 사탁(沙喙)의 수정부지(須仃夫智) 나▨(奈▨)가 있다. 2018. 3. 3. 취순지(就舜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하주(下州) 행사대등(行使大等) 사탁(沙喙)의 춘부지(春夫智) 대나말(大奈末)과 탁(喙)의 취순지(就舜智) 대사(大舍)이 있다. 2018. 3. 3. 춘부지(春夫智) 진흥왕 시대 금석문인 창녕비에 보이는 신라 관료. 삼국사기(三國史記) 권 제4 신라본기4 진흥왕 26년(565년)조에 보이는 아찬(阿飡) 춘부(春賦)와 같은 사람으로 보는 견해가 있다.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하주(下州) 행사대등(行使大等) 사탁(沙喙)의 춘부지(春夫智) 대나말(大奈末)과 탁(喙)의 취순지(就舜智) 대사(大舍)이 있다. 2018. 3. 3. 차질지(次叱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 상주(上州) 행사대등(行使大等) 사탁(沙喙)의 숙흔지(宿欣智) 급척간(及尺干)과 탁(喙)의 차질지(次叱智) 나말(奈末)이 있다. 2018. 3. 3. 숙흔지(宿欣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 상주(上州) 행사대등(行使大等) 사탁(沙喙)의 숙흔지(宿欣智) 급척간(及尺干)과 탁(喙)의 차질지(次叱智) 나말(奈末)이 있다. 2018. 3. 3. 심맥부지(心麥夫智) 진흥왕 시대에 건립된 창녕비에만 등장하는 신라 관료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서는 진흥왕 이름을 ‘심맥부(深麥夫)’라 해서 발음이 같지만 다른 인물이다.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사방군주(四方軍主)로는 비자벌군주(比子伐軍主) 사탁(沙喙)의 등▨▨지(登▨▨智) 사척간(沙尺干)과 한성군주(漢城軍主) 탁(喙)의 죽부지(竹夫智) 사척간(沙尺干)과 비리성군주(碑利城軍主) 탁(喙)의 복등지(福登智) 사척간(沙尺干)과 감문군주(甘文軍主) 사탁(沙喙)의 심맥부지(心麥夫智) 급척간(及尺干)이다. 2018. 3. 3. 복등지(福登智) 같은 진흥왕 시대 금석문들인 황초령비와 마운령비에 보이는 복동지(福冬知) 혹은 복동지(福冬智) 대아간(大阿干)과 발음과 표기로 보아 동일인물일 가능성이 크다. 만약 그렇다면 561년 건립한 창녕비에서는 사척간(沙尺干)이자 군주(軍主)로 나오니 7년이 지나 황초령비와 마운령비가 건립될 당시에는 대아간(대아찬)으로 승진했음을 알 수 있다. 나아가 진평왕 부인 김씨 마야부인(摩耶夫人) 아버지인 갈문왕 복승(福勝)과도 활동연대가 대략 겹치는 것으로 보아 동일인물일 가능성도 있다.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사방군주(四方軍主)로는 비자벌군주(比子伐軍主) 사탁(沙喙)의 등▨▨지(登▨▨智) 사척간(沙尺干)과 한성군.. 2018. 3. 3. 죽부지(竹夫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로)…사방군주(四方軍主)로는 비자벌군주(比子伐軍主) 사탁(沙喙)의 등▨▨지(登▨▨智) 사척간(沙尺干)과 한성군주(漢城軍主) 탁(喙)의 죽부지(竹夫智) 사척간(沙尺干)과 비리성군주(碑利城軍主) 탁(喙)의 복등지(福登智) 사척간(沙尺干)과 감문군주(甘文軍主) 사탁(沙喙)의 심맥부지(心麥夫智) 급척간(及尺干)이다. 2018. 3. 3. 말득지(末得智) 창녕 신라 진흥왕 척경비(昌寧新羅眞興王拓境碑·561년, 진흥왕22) : 신사년(辛巳年) 2월 1일에 세웠다.…이때 (수행한 이는)…한지▨▨(漢只▨▨)의 굴진지(屈珎智) 대일벌간(大一伐干)과 ▨탁(▨喙)의 ▨▨지 (▨▨智) 일벌간(一伐干),…탁(喙)의 봉안지(鳳安智) ▨▨▨이며, ▨▨등(▨▨等)으로는 탁(喙)의 거칠부지(居七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의 감력지(甘力智) ▨▨간(▨▨干)이며, ▨대등(▨大等)으로는 탁(喙)의 말득지(末得智) ▨척간(▨尺干)과 사탁(沙喙)의 칠총지(七聰智) 급척간(及尺干)이다. 2018. 3. 3. 이전 1 ··· 924 925 926 927 928 929 930 ··· 957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