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미라 이야기/마왕퇴와 그 이웃160

[마왕퇴와 그 이웃-122] 배회하는 돼지 김단장께서 놔서 기르면 하루종일 돌아다니다 저녁 때면 집으로 돌아오는 닭 이야기를 쓰셨는데, 이것은 사실 돼지도 그렇다. 우리는 돼지라는 것을 우리에 가둬 키우는 것만 생각하는데사실 우리에 가둬 키우는 돼지는 과거에는 그다지 흔하지 않았고세계적으로 볼 때 놔서 기르는 돼지가 훨씬 많았다. 당장 동아시아만 봐도 황하유역에는 일찍부터 돼지를 가둬 키웠는데반대로 양자강 유역은 돼지를 놔서 키웠다. 이 때문에 양자강 유역의 돼지는 사육돼지의 특징보다 야생종 멧돼지의 특징을 더 많이 갖추고 있는 것으로 안다. 왜 놔서 길렀을까?바로 주변에 황무지가 많아 놔서 키워도 알아서 줏어 먹고 들어오고, 인구밀도가 높지 않아 놔서 키워도 별 문제 없었기 때문이다. 반면 황하유역은 일찍부터 인구밀도가 높아 상당히 이른 시기부.. 2025. 5. 5.
[마왕퇴와 그 이웃-121] 사슴과 꿩: 돼지와 닭의 대체재 역사적으로 사슴과 꿩은 돼지와 닭의 대체재로 기능했다. 사슴과 꿩이 풍부하게 잡히는 사회에서는 돼지와 닭 사육이 흔하지 않았다. 유적에서 사슴 뼈가 많이 발견되는 곳에서는 돼지뼈가 없다. 반대로 돼지뼈가 많으면 사슴뼈가 없다. 날짐승은 경우 꿩이 많으면 닭이 없다. 닭이 많으면 꿩을 들에서 얻기 어려워졌다는 뜻이다. 사슴과 꿩이 많이 잡힌다는 이야기는 인구밀도가 높지 않은 황무지가 있었다는 이야기다. 마왕퇴에서 닭 뼈가 많이 나온다는 이야기는 곧 꿩 소비가 줄었다는 이야기와 같다. 마왕퇴 무덤에 들어간 동물 리스트를 보면 이전보다 야생동물 소비가 줄어든 흔적이 확연한데, 한대 중국사회가 동아시아에서 확고히 그 수준이 높았음을 잘 보여주는 사례라 하겠다. 2025. 5. 5.
[마왕퇴와 그 이웃-119] 닭이 동쪽으로 간 까닭은 앞에서 이야기 했듯이 사육 닭은 중국 남방이나 동남아시아에서 처음 사육화 된 후 북상하여 황하유역까지 올라가는데 이 과정이 그다지 만만치 않아 사람의 손을 타고 북상한 것이 분명한 것은우선 닭은 날지 못하기 때문에 북상하는 과정에서 만나는 큰 강들을 사람의 도움없이 건널 방법이 없기 때문이다. 어쩄건 우여 곡절 끝에 황하유역까지 북상한 닭은 그 후 동쪽으로 전해져 한국과 일본도 마침내 닭고기 맛을 보게 되는데, 이는 한반도와 일본열도의 경우 생각보다 상당히 시대가 내려올 가능성이 있어한국의 경우에도 닭뼈가 확실하게 발견되는 시기는 그다지 많이 올라가지 않아점토대토기 단계 이전으로는 소급하기 어렵지 않을까 한다. 일본 역시 마찬가지로 열도에서 닭뼈가 확실히 나오는 시기는 대체로 서기원년을 전후한 야요이시대.. 2025. 5. 5.
[마왕퇴와 그 이웃-118] 닭의 기원 마왕퇴 무덤에서는 날짐승 뼈도 많이 나왔다. 현재까지 동정된 것을 살펴보면, 닭, 꿩, 물오리, 기러기, 자고, 메추라기, 학, 백조, 산비둘기, 도요새, 원앙, 두루미, 까치, 참새 등으로서한마디로 날아다니는 것은 다 잡아 먹은 듯한 정황이다. 중국에서 닭 사육의 기원은 황하유역과는 관련이 없고아마도 남중국이나 더 남쪽에서 북상한 것 같은 정황이 있다. 일단 사육닭이 나오기 위해서는 야생닭이 있어야 하는데, 현대에 이미 야생종이 멸종해 버린 소나 말 등과 달리닭의 경우 아직도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 일대에 야생닭이 살고 있다. 위 그림에서 보듯이 현재 전세계를 휩쓸고 있는 닭느님의 조상은남중국의 극히 일부에만 걸쳐 있고 대부분 인도에서 동남아시아를 걸친 지역에 퍼져 있어아마도 닭 사육은 이 일대에서 처음.. 2025. 5. 5.
[마왕퇴와 그 이웃-117] 무덤에 넣은 육류 마왕퇴 연재를 빨리 마무리 해야겠다. 이 연재가 마무리 되어야 단행본 집필 작업이 본격화할 것 같아서이다. 필자도 생업이 있는지라 퇴근후나 주말에만 집필하다 보니 어쩔수 없이 이야기가 종종 늦는다. **** 마왕퇴에 1호묘에서는 총 48개 대바구니 안에서 음식물이 담긴 것은 30여개가 발견되었다. 3호묘에서는 음식물이 담긴 대바구니가 모두 40개가 있었다고 한다. 모두 70개나 되는 음식물 바구니가 확인된 셈이다. 이 안에는 육류와 곡물, 과일 등 다양한 음식물이 들어갔는데, 기원전 2세기 중국 최정상급의 사람들이어떤 식사를 하고 있었는지 엿볼수 있다. 그 중 육류를 먼저 살펴보면, 이 안에는 소, 양, 개, 돼지, 말, 토끼, 사슴 등의 육류가 발견되었다고 한다. 가금 (조류)도 발견되었지만 이는 다.. 2025. 5. 5.
[가의賈誼] (2) 황제의 뚜레펑! "당시 가생이 나이는 20여 세로 박사 중 가장 어렸지만 조령詔令을 논할 때마다 여러 선생이 대답하지 못하는 것을 가생은 거침없이 대답할 수 있었고, 사람들이 말하고자 하나 나타내기 어려운 것도 마음껏 구사하니 여러 선생들도 자신들이 가생한테는 재능에 미치지 못함을 인정할 수 밖에 없었다."사기 가생 열전에 보이는 한 구절이다. 그러면서 열전은 "효문제孝文帝가 이를 옳더니 하면서 1년 만에 가생을 태중대부太中大夫로 파격 발탁했다"고 한다.한나라 시대 공무원 직제를 정리한 한서汉书 백관공표百官公卿表에 의하건대 낭중령郎中令이라는 공무원 조직 소속 공무원으로 태중대부太中大夫 등이 있으니 연봉[秩]은 천석千石에 견주었으며 의론议论, 곧 간쟁을 관장했다고 한다.뭐 너무 자세히 들어가면 너무 복잡하고[실은 내가 아.. 2025. 4. 1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