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등학교라는 것은 일제시대에 일본에만 있었고 조선에는 없었다는 이야기를 여러 번 했다.
조선에는 고등학교에 해당하는 교육기관이 경성제대 예과였고, 원래 구제학제에서는 대학예과와 고등학교가 동급으로 대학 진학시 최우선권을 받고 여석이 있을 경우 봐 가면서 전문학교를 고등학교 학력인정으로 받는 것이 통례였다.
대학 선수과에 입학하는 사람들이 바로 이런 사람들이었다. 조선인들은 전문학교를 졸업하고 일본으로 건너가면 대개 이런 방식으로 대학에 진학했다.
일본에서는 고등학교라고 하면, 치열한 경쟁을 뚫고 입학했기 때문에 (해방이후 대학입시가 이에 해당한다) 고등학교, 혹은 대학예과 재학생에게 대학입학은 전혀 심각한 문제가 아니었다.
앞에서 이야기한 것처럼 대학 예과생은 본과로 거의 그대로 들어갔으며 고등학교 졸업생도 고등학교 TO가 제국대학 TO에 1:1로 맞춰 있어 얼마든지 골라 들어갈 수 있었기 때문이다. 특정 제대의 특정과만 죽어도 고집하지 않는 한 고등학생은 거의 백프로 제국대 진학이 보장됐다.
이러한 고등학교 혹은 대학예과에 가장 비슷한 존재가 우리나라 의대 예과라고 할 수 있다.
이때문에 일제시대 고등학생이라고 하면 해방 후 고등학생과 다르다. 해방 후 고등학생이 가장 치열하게 치러야 하는 입시관문이 대학입시였다면, 일제시대에는 이에 해당하는 것이 고등학교 입시였다. 이 입시로 자신의 학벌이 사실상 결정이 되었다고 보아도 된다.
조선에서 이 고등학교 입시에 해당하는 것은 경성제대 예과입시였다고 할 수 있다.
한데 이곳은 치열한 경쟁률 때문에 조선인 입학이 어려웠으므로 대개 수재들은 연전과 보전 시험을 고등학교 입시처럼 생각했다고 할 수 있겠다.
조선에는 학교가 많지 않아 중학과정인 고보 입시부터 이미 박터지는 상황이었다.
각설하고,
이처럼 어렵게 들어간 고등학교였으므로 일본 웹에는 그 시절 고등학생을 낭만적 인생을 그린 이야기가 많다.
전술한 가와바타 야스나리 '이즈의 무희'도 그렇게 나온 소설이다. 젊어서 최고 수준 학교에 입학하여 인생에서 한 시름 놓은 젊은이가 이성에 눈을 뜨고 감성을 묘사한 이 작품은 주인공이 고등학생이 아니었다면 설득력이 떨어진다고도 할 수 있겠다.
조선인에게는 바로 이러한 "고등학교의 추억"이 없다.
고등학교가 없었으므로 고등학교 추억이 없었을 리 없고, 무엇보다 간신히 고등교육을 받고 있는지라 이런 류의 감성에 젖을 틈이 없었던 것일까.
아무튼 조선의 입장에서는 경험하지 못하고 공유하지 못한 것이 바로 이러한 "고등학교의 추억"이었다고 할 수 있겠는데,
그래도 젊은 사람들의 낭만적 감정은 분출구를 찾아 고등학교가 아니라도 다양한 형태의 문학작품을 통해 배출되었다.
아, 우리에게 익숙한 "이수일과 심순애"는 일본의 "금색야차金色夜叉"를 번안한 것인데 이수일에 해당하는 남자주인공이 바로 "고등중학생"으로 "고등중학"이란 "고등학교" 전신이다. 이수일은 "고등학생"이었던 셈이다.
'신동훈의 사람, 질병, 그리고 역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은 왜 학자와 시인이 정치판을 기웃거리게 되는가 (0) | 2023.06.19 |
---|---|
시를 쓰려면 시를 쓰고 정치를 하려면 정치를 해라 (0) | 2023.06.19 |
이른바 식민지의료, 일제시대 연구 무엇이 문제인가? (0) | 2023.06.18 |
일제시대의 지식인: 스핀오프 (1): 가와바타 야스나리 (0) | 2023.06.18 |
일제시대의 지식인: [32] 유치진 (0) | 2023.06.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