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문화 이모저모2724

고양이랑 노는 이집트 남자 고대 이집트인들한테 고양이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는 앞서 다른 역설적 사건을 통해 한 번 말한 바 있거니와 이 부조는 고양이랑 노는 장면을 묘사한다. 이 부조는 한 남자가 고양이와 상호 작용하는 아름다운 장면을 보여준다. 돌에 복잡하게 조각한 남자와 고양이 동반자 세부 묘사를 포착한다. 남자는 갈대나 천 조각을 들고 의자에 앉아 있고, 고양이는 뒷다리로 서서 부드럽고 장난스러운 태도로 사람과 소통한다. 이 작품은 고대 이집트 문화에서 고양이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고양이는 가정, 다산, 보호의 여신인 바스테트Bastet와 같은 신과 존경받고 종종 연관되어 있었다. 이 단편에 묘사된 섬세한 장인정신과 고요한 상호작용은 고대 이집트의 일상생활과 예술적 표현을 엿보게 한다. *** related article .. 2024. 6. 27.
소도 센서스를 실시한 고대 이집트 소 실태 조사 Cattle Census 모형, 중왕국, 제12왕조, ca. 기원전 1981-1975년.메케트레Meketre 무덤 출토, 셰이크 압드 엘 쿠르나 Sheikh Abd el-Qurna, 서부 테베 West Thebes. 지금 카이로 이집트 박물관에 있다. 이 대형 모델은 소를 검사하는 안뜰을 보여준다. 그의 아들 메케트레와 네 명의 서기관이 기둥이 있는 캐노피 아래에 앉아 있고 근처에는 서기관과 경비원이 서 있다.Model of a Cattle Census Middle Kingdom, 12th Dynasty, ca. 1981-1975 BC. Tomb of Meketre, Sheikh Abd el-Qurna, West Thebes. Now in the Egyptian Museum, Cairo. .. 2024. 6. 27.
고양이 전술로 이집트를 교란한 아케메네스 캄비세스 2세 기원전 525년, 펠루시움 전투 Battle of Pelusium 동안 아케메네스 페르시아 왕 캄비세스 2세 Cambyses II 는 이집트인들에 대한 승리를 확보하기 위해 독특한 심리적 전술을 사용했다. 이집트인들이 고양이를 신성한 동물로 숭배한다는 것을 알고 있던 캄비세스는 병사들에게 고양이를 포획하여 전투에 실어 나르라고 명령했다. 페르시아 군대는 이 고양이들을 진격 최전선에 붙잡고 있었고, 동물들을 방패로 효과적으로 사용했다.이집트 병사들은 신성한 생물들을 해친 신의 보복을 두려워하여 공격을 주저하여 페르시아인들에게 상당한 전략적 이점을 가져다 주었다. 이집트인들의 종교적 신념에 대한 이러한 착취는 이집트군의 사기 저하와 궁극적인 패배에 기여했다.또한 캄비세스 2세는 병사들에게 고양이 이미지를 방.. 2024. 6. 27.
겨울을 살아남고자 땅을 파고 들어간 3천년 전 브라질 남부 사람들 브라질 남부 고고학은 1960년대부터 상파울루São Paulo, 파라나Paraná 및 주로 산타 카타리나 Santa Catarina 와 리우 그란데 도 술 Rio Grande do Sul 주 고원 많은 지점에서 발견되는 매우 특별한 유형의 고대 인간 점유에 주목했다.이런 특징은 해변에서 가까운 산타카타리나 Santa Catarinai 남부에서도 몇몇 유사점을 보인다.브라질의 현재 305개 민족 중 하나인 카잉강 족 The Kaingang 은 유럽인이 도착하기 3천 년 전에 이미 남부 고원에 거주했다. 이 마을들은 프로토 카인강P roto-Kaingang, 타쿠아라 전통 Taquara Tradition의 마을 또는 지하 주택 Underground Houses 의 사람들로 알려져 있었다.치마 다 세라 Cim.. 2024. 6. 27.
[동부 터키 여행] (2) 우라르트Urartu 요약 우라르투Urartu는 아르메니아 고원 반 호수 Lake Van 를 중심으로 한 철기 시대 왕국이다. 유프라테스 강 상류 upper Euphrates Rive 동쪽 강둑에서 우르미아 호수 Lake Urmia 서쪽 해안까지, 그리고 이라크 북부 산맥에서 소코카서스 산맥 Lesser Caucasus Mountains 까지 영역이 걸친다. 그 왕들은 Hurro-Urartian 어족 일원인 우라르투 언어로 된 설형문자(쐐기문자) 비문을 남겼다. 19세기에 재발견된 이후 보통 적어도 부분적으로 아르메니아어를 사용했다고 여겨지는 우라르투는 아르메니아 민족주의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 왕국은 기원전 9세기 중반에 등장하여 기원전 8세기와 7세기에 아르메니아 고원 Armenian Highlands 을 지배했다... 2024. 6. 26.
500년간 살아있는 부하라 대장간 우즈베키스탄에서 유일한 부하라Bukhara 소재 대장장이 박물관-작업장 Blacksmiths' Museum-Workshop. 16세기 쿨류타 카라반사라이 Kulyuta karavansarai 에 설립된 것이라 하는데, 그렇다면 대략 500년간 대장간으로 활용한다는 뜻이 되겠다. 그런 까닭에 이 박물관이자 작업장은 지금도 살아있는 박물관이라고. 고대 대장장이 공예 역사를 배울 뿐만 아니라 제품 제작에도 참여할 수 있다고. 이 대장간 한번 가보고 싶구만 2024. 6. 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