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204

표절과 인용, 논문 쪼개기와 돈타령…학계 고질병 김병준 교육부총리의 사퇴를 불러온 논문 표절 시비라든가 논문 중복게재 논란은 그 진실이 무엇이건 우리 학계의 고질을 다시금 수면 위로 부상케 했다. 학계에서 말하는 표절이란 쉽게 말해 도둑질이다. 한데 과연 어느 정도 수준을 표절이라 볼 것인가 하는 문제는 그리 간단치 않다. 표절은 '인용'과 함수 관계를 이룬다. 누가 언제 발표한 어떤 글을 이용했는지를 밝혀주는 행위가 인용이다. 이런 인용 표시를 했느냐 하지 않았느냐에 따라 사실상 표절 여부가 판가름난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여기에도 예외는 있을 수 있다. 고의가 아닌 실수로 인용을 빠뜨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설혹 표절 혐의가 짙다고 해도, "부주의해서 빠뜨렸다"고 변명하면 더 이상 따지기 곤란한 경우가 다반사다. 그런 반면에 우리 학계에는 .. 2018. 4. 5.
태종무열왕릉비 Stele for Tomb of King Taejong Muyeol in GyeongjuNational Treasure No. 25경주 태종무열왕릉비 / 慶州太宗武烈王陵碑국보 제25호 / 받침돌 길이 330cm, 너비 249cm, 높이 83cm, 머릿돌 높이 110cm 신라 태종무열왕(재위 654~661)의 위대한 업적을 기리기고자 그의 무덤 앞쪽 좌측에 세웠다. 비 몸돌은 없어지고 거북 모양 받침돌과 용을 새긴 머릿돌만 남았다. 받침돌에 조각된 돌 거북은 목을 높이 쳐들고 발을 기운차게 뻗으며 나아가는 모습을 표현했다. 머릿돌 좌우에는 여섯 마리 용이 서로 세 마리씩 엉켜 여의주를 문 모습을 조각했다. 앞면 중앙에는 무열왕 둘째아들 김인문이 썼을 것으로 추정되는 ‘태종무열대왕지비’라는 글을 돋을새김해 .. 2018. 4. 4.
公州서 百濟 大通寺址 出現 백제 '대통사' 실체 드러나나…공주 주택부지서 명문기와 출토송고시간 | 2018/04/01 06:00 대통사지 당간지주와 150m 떨어진 지점서 유물 무더기로 나와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8/03/31/0200000000AKR20180331053100005.HTML 기사에 첨부한 사진을 내가 찍었다. Daetongsa Temple Site has been discovered at Gongju, the second capital of Baekje Kingdom 2018. 4. 4.
Divine Bell of the Great King Seongdeok Divine Bell of the Great King Seongdeok(Seongdeokdaewang-Sinjong)新羅聖德大王神鐘 / 신라 성덕대왕 신종 Unified Silla periodHeigh 3.658m, weight 18.908kg±2kgUnified Silla period, 771National Treasure No. 29 The bell is the second oldest one of all the Korean bells whose manufacturing dates are known. The massive bronze bell, the largest extant bell in Korea was first housed at Bongdeoksa, the guardian temple of .. 2018. 4. 4.
The Waste Land by T. S. Eliot The Waste Land in 1922 by T. S. Eliot (1888~1965) I. THE BURIAL OF THE DEAD APRIL is the cruellest month, breeding Lilacs out of the dead land, mixing Memory and desire, stirring Dull roots with spring rain. Winter kept us warm, covering 5 Earth in forgetful snow, feeding A little life with dried tubers. Summer surprised us, coming over the Starnbergersee With a shower of rain; we stopped in the.. 2018. 4. 4.
Silla Monument in Bongpyeong-ri, Uljin Trespassing the police line to encounter Silla Monument in Bongpyeong-ri, Uljin at the Museum of Silla Monument in Bongpyeong-ri, Uljin Having been buried for a long time, this stele is much effaced and is thus difficult to decipher accurately, but it seems that it was erected in 524, the 11th year of the reign of King Beopheung(514-540) of Silla Kingdom(57 B.C.- A.D.935). 2018. 4. 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