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121

김의관(金義寬) 삼국유사 기이2 원성대왕(元聖大王)조에 등장하는 의관(議官)과 동일인물이라 생각된다. 삼국사기 권제6(신라본기 제6) 문무왕 상 : 10년(670)…가을 7월에 왕은 백제의 남은 무리들이 배반할까 의심하여 대아찬 유돈을 웅진도독부에 보내 화친을 청하였으나 [도독부는] 따르지 않고, 사마(司馬) 예군(=軍)을 보내 우리를 엿보게 하였다. 왕은 [그들이] 우리를 도모하려는 것을 알고 예군을 붙잡아 두어 돌려 보내지 않고 군사를 일으켜 백제를 쳤다. 품일, 문충, 중신, 의관(義官), 천관(天官) 등이 성 63곳을 쳐서 빼앗고 그 사람들을 내지(內地)로 옮겼다. 천존과 죽지 등은 일곱 성을 빼앗고 2천 명을 목베었으며, 군관과 문영 등은 12성을 빼앗고 오랑캐 군사를 쳐서 7천 명을 목베었으며 빼앗은 말과 병.. 2018. 3. 6.
의관(義寬) ☞김의관(金義寬) 2018. 3. 6.
위문(魏文) ☞김위문(金魏文) 2018. 3. 6.
김위문(金魏文) 신라 성덕왕 11년(712) 3월, 이찬으로 중시가 되었다가 이듬해 10월, 나이가 많음을 이유로 물러났다. 그의 손자 김경신이 즉위해 원성왕이 됨으로써 흥평대왕(興平大王)에 추봉됐다. 삼국사기 권 제8(신라본기 8) 성덕왕 : 11년(712)…3월에 이찬 위문(魏文)을 중시로 삼았다. 12년(713)…겨울 10월에 중시 위문(魏文)이 나이가 많아서 관직에서 물러나기를 청하였으므로 허락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10(신라본기 제10) 원성왕 : 원년 2월에 왕의 고조부 대아찬 법선(法宣)을 현성대왕(玄聖大王)으로, 증조부 이찬 의관(義寬)을 신영대왕(神英大王)으로, 할아버지 이찬 위문(魏文)을 흥평대왕(興平大王)으로, 죽은 아버지 일길찬 효양(孝讓)을 명덕대왕(明德大王)으로 추봉하였다. ☞흥평대왕(興平大王) 2018. 3. 6.
마질차摩叱次 신라 원성왕 김경신의 5대조로서 생전 최고 관위가 잡간임을 확인할 뿐, 그 외 흔적은 발견되지 않는다. 삼국유사 제2권 기이 2 원성대왕(元聖大王) : 왕의 능陵은 토함산吐含山 서쪽 동곡사洞鵠寺(지금의 숭복사崇德寺)에 있는데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비문이 있다. 왕은 또 보은사報恩寺와 망덕루望德樓를 세웠다. 조부 훈입訓入 잡간匝干을 추봉追封하여 흥평대왕興平大王이라 하고, 증조曾祖 의관議官 잡간을 신영대왕神英大王이라 하고, 고조高祖 법선法宣 대아간大阿干을 현성대왕玄聖大王이라 했다. 현성대왕의 아버지는 곧 마질차摩叱次 잡간이다. 2018. 3. 6.
효양(孝讓) ☞김효양(金孝讓) 2018. 3.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