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0089

충훤(忠萱)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본기 : 25년(220) 봄 3월에 이벌찬 이음이 죽었으므로 충훤(忠萱)을 이벌찬으로 삼고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아보게 하였다. 27년(222)…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우두주(牛頭州)에 침입하였으므로 이벌찬 충훤(忠萱)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막았는데, 웅곡(熊谷)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여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으므로 진주(鎭主)로 좌천시키고 연진(連珍)을 이벌찬으로 삼아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구수왕본기 : 9년(222)…겨울 10월에 군사를 보내 신라의 우두진(牛頭鎭)에 들어가 민호(民戶)를 약탈하였다. 신라 장수 충훤(忠萱)이 군사 5천 명을 거느리고 웅곡(熊谷)에서 맞아 싸웠으나 크게 패배하여 한 필의 말을 .. 2018. 3. 2.
귀수(貴須)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구수왕본기 즉위년 : 구수왕(仇首王)은 초고왕(肖古王) 맏아들이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6대 구수왕(仇首王)은 귀수(貴須)라고도 하는데 초고왕(肖古王) 아들이다. 갑오년에 즉위해 21년을 다스렸다. ☞구수왕(仇首王) 2018. 3. 2.
회회(茴會)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초고왕본기 : 49년(214) 가을 9월에 북부(北部)의 진과(眞果)에게 명하여 군사 1천 명을 거느리고 말갈의 석문성(石門城)을 습격하여 빼앗았다. 2018. 3. 2.
설부(薛夫)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본기 : 19년(214) 가을 7월에 백제가 나라 서쪽의 요거성(腰車城)을 공격해 와서 성주 설부(薛夫)를 죽였다. 왕이 이벌찬 리음(利音)에게 명하여 정예군사 6천 명을 이끌고 백제를 치게 하여 사현성(沙峴城)을 함락시켰다. 삼국사기 권 제24 백제본기 제2 초고왕본기 : 39년(204) 가을 7월에 군사를 내어 신라의 요거성(腰車城)을 공격하여 함락시키고 성주 설부(薛夫)를 죽였다. 신라 왕 나해(奈解)가 노하여 이벌찬(伊伐湌) 리음(利音)을 장수로 삼아 6부의 정예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우리의 사현성(沙峴城)을 공격하였다. 2018. 3. 2.
구도(仇道) 화랑세기 세종공 전 : 미추대왕(味鄒大王)이 광명을 황후로 삼으며 후세에 알려 말하기를 ‘옥모(玉帽)의 인통(姻統)이 아니면 곧 황후로 삼지 말라’고 하였다. 까닭에 세상에서 이 계통을 진골정통(眞骨正統)이라 한다. 옥모부인(玉帽夫人)은 곧 소문국(召文國)의 왕녀인 운모공주(雲帽公主)가 구도공(仇道公)에게 시집가서 낳은 사람이다. 옛날부터의 진골(眞骨)이 아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아달라니사금본기 : 19년(172) 봄 정월에 구도(仇道)를 파진찬으로 삼고 구수혜(仇須兮)를 일길찬으로 삼았다. 2월에 시조묘에 변고가 있었다. 서울에 돌림병이 크게 번졌다.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초고왕본기 : 25년(190) 가을 8월에 군사를 내서 신라의 서쪽 국경의 원산향(圓山鄕)을 습격하.. 2018. 3. 2.
소고(素古)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초고왕본기 즉위년 : 초고왕(肖古王)은 개루왕(蓋婁王) 아들이다. 개루가 재위 39년에 죽자 왕위를 이었다. 삼국유사 권 제1 왕력 : 제5대 초고왕(肖古王)은 소고(素古)라고도 한다. 개루(盖婁)의 아들이다. 병오년에 즉위해 51년을 다스렸다. ☞초고왕(肖古王) 2018. 3. 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