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33

강훤(康萱)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32년(227) 3월에 파진찬 강훤(康萱)을 이찬으로 삼았다. 2018. 3. 8.
련진(連珍)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 : 27년(222) …겨울 10월에 백제 군사가 우두주(牛頭州)에 침입하였으므로 이벌찬 충훤(忠萱)이 군사를 이끌고 그들을 막았는데, 웅곡(熊谷)에 이르러 적에게 패하여 혼자 말을 타고 돌아왔으므로 진주(鎭主)로 좌천시키고 련진(連珍)을 이벌찬으로 삼아 군사의 일을 겸하여 맡게 하였다. 29년(224) 가을 7월에 이벌찬 련진이 봉산(烽山) 아래에서 백제와 싸워 그들을 깨뜨리고 천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8월에 봉산성(烽山城)을 쌓았다. 삼국사기 권 제24(백제본기 제2) 구수왕 : 11년(224) 가을 7월에 신라의 일길찬(一吉) 련진(連珍)이 쳐들어 왔다. 우리 군사가 봉산(烽山) 아래에서 맞아 싸웠으나 이기지 못하였다. 2018. 3. 8.
연진(連珍) ☞련진(連珍) 2018. 3. 8.
윤종(允宗) 나해왕 16년(211) 이찬이 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6년(211) 봄 정월에 훤견(萱堅)을 이찬으로 삼고 윤종(允宗)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훤견(萱堅) 나해왕 16년(211) 일길찬이 된 신라 관료.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6년(211) 봄 정월에 훤견(萱堅)을 이찬으로 삼고 윤종(允宗)을 일길찬으로 삼았다. 2018. 3. 8.
리음(利音) ?~220. 신라 나해니사금 아들로 관료이자 장군. 동왕 12년(207) 이벌찬이 되고 이듬해 변경을 침범한 왜군을 막았으며, 14년(209) 포상팔국의 난을 진압했다. 19년(214) 서쪽 변경을 침략한 백제군을 토벌하고 사현성을 빼았다가 25년(220) 3월에 사망했다. 삼국사기 권 제2(신라본기 제2) 나해니사금(奈解尼師今) : 12년(207) 봄 정월에 왕자 리음(利音)을 이벌찬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의 군사 일을 겸하여 맡아보게 했다. 13년(208)…여름 4월에 왜인이 변경을 침범하므로 이벌찬 이음을 보내 군사를 거느리고 막게 했다. 14년(209) 가을 7월에 포상(浦上)의 여덟 나라가 가라(加羅)를 침범하므로 가라 왕자가 와서 구원을 청했다. 왕이 태자 우로(于老)와 이벌찬 리음(利音)에게 .. 2018. 3. 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