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17

동성왕(東城王) 백제 제24대 왕. 태어난 해는 알 수 없으며, 501년 시해됐다. 재위기간은 479~501년. 이름은 모대(牟大) 혹은 마모(摩牟)·마제(麻帝)·말다(末多) 등이 있고, 간혹 여대(餘大)라 하지만, 이는 '부여대'의 줄임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제22대 문주왕(文周王) 아우 좌평(佐平) 곤지(昆支)의 둘째아들이라 하나, 계보에 의심이 많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본기 : 동성왕(東城王)은 이름은 모대(牟大)이며 문주왕 동생인 곤지(昆支) 아들이다. 담력이 남보다 뛰어나고 활을 잘 쏘아 백발백중이었다. 삼근왕이 죽자 왕위에 올랐다. 4년(482) 봄 정월에 진로(眞老)를 병관좌평(兵官佐平)으로 삼고 중앙과 지방[內外]의 군사 업무[兵馬事]를 아울러 맡겼다. 가을 9월에 말갈(靺鞨)이 .. 2018. 3. 5.
비타(毗陁) 백제 동성왕 20년에 쌓은 사정성 초대 성주로 당시 관위는 한솔이었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동성왕본기 : 20년(498)…가을 7월에 사정성(沙井城)을 쌓아 한솔(扞率) 비타(毗陁)에게 지키게 했다. 2018. 3. 5.
우영(優永) 무령왕 원년, 고구려 수곡성을 공격한 백제 달솔이다. 삼국사기 권 제26(백제본기 제4) 무령왕 : 원년(501) 겨울 11월에 달솔(達率) 우영(優永)을 보내 군사 5천 명을 거느리고 고구려의 수곡성(水谷城)을 습격했다. 2018. 3. 5.
무녕왕(武寧王) '武寧王'을 '무녕왕'으로 읽어도 하등 상관이 없으나, 관례로 '무령왕'으로 읽으니 이를 따른다. ☞무령왕(武寧王) 2018. 3. 5.
김유신론(4) 전쟁은 영웅을 부르는 법 김유신이 신라의 미래 동량으로 두각을 드러나기 시작할 무렵, 한반도는 시종 전운이 감도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단 한 해도 전쟁이 없는 시대로 돌입했다. 삼국사기 신라 진평왕본기에서 그 흔적을 추려보면, 38년(616) 겨울 10월, 백제가 모산성(母山城)을 쳤는가 하면, 40년(618)에는 북한산주 군주 변품邊品이 가잠성을 되찾고자 병사를 일으켜 백제와 싸웠지만 패배하고 해론奚論이 전사했다.45년(623) 겨울 10월에는 백제가 늑노현勒弩縣을 습격하더니 이듬해 46년(624) 겨울 10월에는 백제가 군사를 일으켜 속함速含ㆍ앵잠櫻岑ㆍ기잠歧暫ㆍ봉잠烽岑ㆍ기현旗縣ㆍ혈책穴柵 여섯 성을 포위한 결과 세 성이 함락되고 급찬 눌최訥催가 전사하는 대패를 기록했다. 시종 백제 공세에 시달린 신라는 47년(625) 겨.. 2018. 3. 4.
김유신론(3) 불루칩에 투자하는 미실 정치는 바터 (진평왕 엄마인) 만호태후 뜻을 알고는 미리 물러난 미실. 그리하여 자기 아들 보종을 내리고, 그 자리에 만호태후가 점 찍은 15살 꼬맹이 유신을 풍월주에 앉힌 미실한테 만호 역시 무엇인가 보답을 해야 했다. 역시 정치는 주고받기라, 노회한 정치가 만호는 또 다른 노회한 정치가 미실을 보답할 방법을 생각한다. 미실로서도 그 제안을 거절할 이유가 없었다. 만호가 내민 선물이 블루칩이고 가상화폐였기 때문이다. 11세 풍월주가 하종夏宗이다. 갑신년(564)에 태어났으니, 아버지가 세종世宗이요, 어머니가 바로 미실美室이다.화랑세기 하종공 전에 의하면 15살에 화랑에 들어간 그는 역사를 사다함 형인 토함한테서 배우고, 노래는 이화공에게 배웠으며, 검술은 문노에게 터득했으며, 춤은 미실 동생인 미생美生.. 2018. 3. 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