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17 김유신론(2) 외할머니 만호태후의 절대 비호 김유신이 금관가야 왕가의 정통 후손임은 널리 알려졌거니와, 그의 증조부가 바로 금관가야를 통째로 들어 신라로 귀부한 구형왕이라, 그의 세 아들 중 김무력이 아비와 더불어 투항하매, 진흥은 사도부인과의 사이에서 난 적통 공주 아양을 배필로 주니, 이 사이에서 난 아들이 바로 김서현이다. 따라서 부계로 보면 김유신은 금관가야만이 아니라, 진흥왕의 증손이었다. 그렇다면 김유신의 혈통은 이것으로 끝인가? 이것만이 그의 벼락출세를 보장하는가? 이에서 우리가 쳐다보아야 할 곳이 바로 그의 모계 혈통이니, 그의 어머니는 만명萬明이었으니, 실은 그의 출세를 보장한 것은 바로 이 모계였다. 삼국사기 김유신 열전 上에서는 만명을 일러 "갈문왕葛文王 입종立宗의 아들인 숙흘종肅訖宗의 딸"이라 했거니와, 이리 되면 골 때리.. 2018. 3. 4. 김유신론(1) 15세 벼락스타 항용 김유신 가문을 논할 때, 단재 신채호 이래 협작설 혹은 공작설이 대세이거니와, 이를 간단히 정리하면, 음험취한한 김유신은 본디 금관가야 혈통인 까닭에 엄격한 골품제 사회인 신라에서는 출세에 한계가 있음을 알고는, 그것을 혼인을 통해 돌파하려 했으니, 그런 일환으로 교묘한 공작으로 자기 누이동생과 떠오르는 신라 본래의 청춘스타 김춘추를 결혼시킴으로써, 이를 발판으로 출세가도를 달리게 되었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공작설이 지닌 결정적인 하자가 한둘이 아님은 내가 여러 번 지적했고, 근자에 이런 내 주장과 흐름을 같이하는 글도 나오기 시작했으니, 그런 기존 논의에서 거의 다뤄지지 않았거나, 혹은 아예 누락한 중대한 사건 하나를 논하려 한다. 신라에 이른바 화랑도라는 독특한 군사 혹은 종교 결사체가 .. 2018. 3. 4. 현여(玄如) 신라 말기 승려다. 헌강왕 9년(883), 보문사에 대덕으로 주석하면서, 그 옛날 김유신이 건립한 석탑을 수리하는 일을 주관했다. 기타 행적은 확인되지 않는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중수하고자 하여……보문사(普門寺) 현여(玄如) 대덕이 무구정광경에 의거해 작은탑 77기를 만들고 진언(眞言) 77벌을 써서 대탑에 봉안했다. 그리고 집집마다 신묘한 보배를 갖고 .. 2018. 3. 4. 유신(裕神) ☞김유신(金裕神) ☞김유신(金庾信) 2018. 3. 4. 김유신(金裕神) 신라 하대 금석문인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에 등장하는 표기로 김유신(金庾信)을 말한다. 발음이 같은 '裕神'이라 쓴 까닭은 피휘(避諱) 때문이다. 이 무렵 김유신은 이미 흥무대왕으로 추봉된 까닭에 이름을 함부로 부를 수는 없어, 같은 발음 한자 중에서도 그 신성성을 발휘할 글자만을 골라 '裕神'이라 쓴 것이다. 중화 3년명 금동 사리기기(仲和三年銘金銅舍利器記·883년·신라 헌강왕 9년·당 희종(僖宗) 중화 3년) : 무릇 성인의 자취와 행인(行人)의 묘취(妙趣)를 좇아 영탑(靈塔)을 세우는 것은 명왕(明王)이라면 보통 행하는 일이다. 옛날에 유신(裕神) 각간이 세상에 나서 대업(大業)을 이루어 나라의 보배가 되었기에 삼가 이 대석탑을 만들었다. 중화(仲和) 3년(883)에 다시.. 2018. 3. 4. 굴정차(屈丁次) 진흥왕 시대 비석 중 하나인 북한산비에 왕을 따라 북한산을 순수한 신라 관료 중 한 명이다. 이때 관위는 나말(奈末)이었다. 다른 행적은 파악되지 않는다. 북한산 비봉 신라 진흥왕 순수비(北漢山碑峰新羅眞興王巡狩碑·568년·진흥왕 29 이후) : 진흥태왕(眞興太王)과 뭇 신하들이 ▨▨을 순수(巡狩)할 때 기록하다. (왕을 수행한 신하들로는) …내부지(內夫智) 일척간(一尺干)과 사탁(沙喙) 무력지(另力智) 잡간(迊干)과 남천군주(南川軍主) 사탁(沙喙) … 부지(夫智) 급간(及干)과 미지(未智) 대나▨(大奈▨)와 ▨▨▨ 사탁(沙喙) 굴정차(屈丁次) 나▨(奈▨)다. 2018. 3. 4. 이전 1 ··· 3394 3395 3396 3397 3398 3399 3400 ··· 350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