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000 절거리節居利 영일 냉수리 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지증왕4년․503년 추정) : 斯羅의 喙 ○夫智王과 내지왕(乃智王) 두 왕이 敎示를 내려 진이마촌珍而麻村의 절거리節居利로써 증거를 삼아 그 로 하여금 재물을 얻게 하라고 하셨다. 癸未年 9월 25일, 사탁沙喙 지도로 갈문왕至都盧葛文王·○德智 阿干支·자숙지 거벌간지子宿智居伐干支와 喙의 이부지 일간지尒夫智壹干支·지심지 거벌간지只心智 居伐干支와 本彼의 두복지 간지頭腹智干支와 斯彼의 暮○智 干支, 이들 일곱 왕 등이 함께 의논하여(共論) 교시하였으니, 前世 두 王의 교시로써 증거를 삼아 財物을 모두 절거리로 하여금 얻게 하라고 하셨다. 또 敎示하셨으니 節居利가 만약 먼저 죽으면 그 집 아이 사노斯奴로 하여금 그 財物을 얻게 하라고 하셨다. 다시 교시하셨으니 말추末鄒와 ○申支 .. 2018. 2. 23. 내지왕(乃智王) 고신라 금석문에서 확인한 신라 왕이다. 삼국유사 왕력편 눌지마립간조에 이르기를 왕을 ‘내지(內只)라고도 한다(一作內只’라 했으니, 이를 근거로 음이 비슷하다 해서 눌지왕이라고 본다. 영일 냉수리 신라비(迎日冷水里新羅碑․지증왕4년․503년 추정) : 斯羅의 喙 ○夫智王과 내지왕(乃智王) 두 왕이 敎示를 내려 진이마촌珍而麻村의 절거리節居利로써 증거를 삼아 그 로 하여금 재물을 얻게 하라고 하셨다. 癸未年 9월 25일, 사탁沙喙 지도로 갈문왕至都盧葛文王·○德智 阿干支·자숙지 거벌간지子宿智居伐干支와 喙의 이부지 일간지尒夫智壹干支·지심지 거벌간지只心智 居伐干支와 本彼의 두복지 간지頭腹智干支와 斯彼의 暮○智 干支, 이들 일곱 왕 등이 함께 의논하여(共論) 교시하였으니, 前世 두 王의 교시로써 증거를 삼아 財物을 모.. 2018. 2. 23. 유신(庾信) ☞ 김유신(金庾信) 2018. 2. 23. 유신공(庾信公) 김유신(金庾信)을 높여 이르는 말. ☞ 김유신(金庾信) 2018. 2. 23. 흘우(屹于)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다루왕본기 : 3년(서기 30) 겨울 10월에 동부의 흘우(屹于)가 말갈과 마수산(馬首山) 서쪽에서 싸워 이겼는데 죽이고 사로잡은 것이 매우 많았다. 왕이 기뻐하여 흘우에게 말 10필과 조(租) 500섬을 상으로 주었다. 7년(서기 34) 봄 2월에 우보 해루(解婁)가 죽으니[卒] 나이가 90세였다. 동부의 흘우(屹于)를 우보로 삼았다. 10년(서기 37) 겨울 10월에 우보 흘우를 좌보(左輔)로 삼고, 북부의 진회(眞會)를 우보로 삼았다. 21년(서기 48) 3월에 좌보 흘우(屹于)가 죽으니[卒] 왕이 슬피 곡하였다. 2018. 2. 23. 구태(仇台) 삼국사기 권 제23(백제본기 제1) 온조왕본기 즉위년 : 북사(北史)와 수서(隋書)에서는 모두 다음과 같이 기록하였다. 『동명(東明)의 후손에 구태(仇台)라는 사람이 있었는데 어질고 신의가 돈독하였다. [그는] 처음에 대방의 옛 땅[帶方故地]에 나라를 세웠다. 한(漢)나라 요동태수(遼東太守) 공손도(公孫度)가 자기 딸을 아내로 삼게 하였으며, 마침내 동이(東夷)의 강국(强國)이 되었다.』 [그러나] 어느 것이 옳은지 알지 못하겠다.> 2018. 2. 23. 이전 1 ··· 3427 3428 3429 3430 3431 3432 3433 ··· 3500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