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21804

한반도의 소와 말 앞서 김단장께서 이집트 소 이야기를 올리며 한반도의 소 사육이 언제 시작되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쓰신지라( 5천500년 전 이집트 소를 보며 드는 의문)  간단히 아는 바를 적어본다. 한반도의 경우 소와 말의 도입은 아주 늦다. 한반도에서 소와 말을 받아간 일본 열도의 경우, 삼국지 위지 동이전에 소와 말은 그쪽에는 없다, 고 적고 있다. 실제로 일본의 경우 서기 5세기까지도 소와 말의 사육은 거의 확인이 잘 안된다. 삼국지 동이전의 기록이 굉장히 정확하다는 이야기다. 한반도는 이보다는 빠르지만, 역시 중국에 비하면 엄청나게 늦다. 소는 최초로 사육된 지역이 메소포타미아다.  중국과 한국, 일본의 소도 모두 메소포타미아에서 기원한 소의 후손이다. 중국, 한국, 일본의 일부 학자가 자기들 나라에서도 소 사육.. 2024. 8. 2.
[서예가 이완용] (6) 여유는 있었으나 절박함이 없던 삶 앞서 그가 추사체를 따르지 않은 점이 특이하다고 하긴 했지만, 기실 근대 한국의 다른 관료나 문인들 작품을 보아도 추사체보담은 안진경체, 조금 더 엄밀히는 안진경을 깊이 공부해 일가를 이루었던 청나라 말기 서가 하소기(何紹基, 1799~1873)의 글씨체(그림 1)를 따른 경우가 많았다. 그러니 이완용이 안진경체를 쓴 게 이상한 일은 아니다. 하지만 그들과 이완용이 구분되는 지점이 하나 있다. 위창葦滄 오세창(吳世昌, 1864~1953), 소호小湖 김응원(金應元, 1855~1921), 또 고균古筠 김옥균(金玉均, 1851~1894)이나 현현거사玄玄居士 박영효(朴泳孝, 1861~1939)처럼 당시 내로라하는 망명객亡命客들은 으레 생계를 위해 서화를 그려 팔곤 했다. 입에 풀칠하기 위해 쓰고. 도움에 보답하.. 2024. 8. 2.
5천500년 전 이집트 소를 보며 드는 의문 명세서는 이렇다. Material Clay Size Height: 8.2 cm (3.2 in) Length: 24.2 cm (9.5 in) Width: 15.3 cm (6.0 in) Created c. 3500 BC Period/culture Naqada I Discovered 1901 El-Amrah, Sohag, Egypt Present location Room 64, British Museum, London 이 엘-암라El-Amra 소 점토 모형은 고대 이집트 왕조 이전 시대 Predynastic, 나카다 1세Naqada I 시기인 기원전 3500년 무렵 작은 도기 조각이다. 이집트 엘-암라 무덤에서 발견된 여러 모형 중 하나이며, 현재 브리티시뮤지엄에 있다. 이 모형은 높이 8.2 센티미터, 길이.. 2024. 8. 1.
2천년 전 나폴리 케르베로스 무덤 관 뚜껑을 열었더니 https://www.youtube.com/watch?v=SQByrwiIJ2Q  이 발굴 소식은 이미 지난 4월에 우리 THE HERITAGE TRIBUNE가 2천년 전 나폴리 케르베로스 무덤 Tomb of Cerberus 이라는 제하 기사로 상세히 전한 적 있다. 그를 간단히 요약하면 공화정과 제국 로마 시대에 만든 것으로 약 2,000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이 석실분은 보존상태가 아주 좋아 입구는 응회암 판대기 tuff slab 로 봉인된 상태였고, 입구에 들어서자 방은 벽을 장식하고 있는 멋진 프레스코화 frescoes 를 드러났으니, 이 무덤이 저런 이름을 얻은 까닭은 그 프레스코화에서 세 발 달린 저승 세계의 지킴이 케르베로스가 발견되기 때문이었다.   저 발굴을 이탈리아 고고학도이 계속해서.. 2024. 8. 1.
모르면 큰 일 난다 협박하는 박물관 앞선 글 새로운 시대, 새로운 박물관을 제안하며 를 연장하며 쓴다. 우리네 박물관 구성이 탑재 내재한 가장 큰 문제로 내가 생각하는 바는 저거다. 우리가 가르치는 이런 것들을 너희가 모르면 죽는다! 이런 협박이 시종일관 모든 박물관을 관통한다. 그래서 어떡하면 그네가 생각하는 이른바 정보를 콘텐츠라는 이름으로 포장해서는 포장판매를 강요한다. 이걸 사 가지 아니하면 너희는 곧 죽고 만다 강매한다. 중앙박물관을 필두하는 국립박물관, 전국 각 광역과 기초지자체는 물론이요, 대학박물관도 그렇고 사설박물관도 가릴 것 없이 모조리 이리해서 시종하고 일관해서 관통하는 가장 심각한 문제는 저 협박이다. 저 강요다. 저 윽박이다. 어쩌면 그것은 그네가 살아가기 위한 절박일 수 있다. 왜? 그것이 아니라면 존재가치가 없다.. 2024. 8. 1.
잘나가는 음식점은 단품종, 못나가는 박물관은? 물론 있으리라고는 생각하지마는 잘나간다는 박물관, 예컨대 루브르나 브리티시뮤지엄이 전시 고유 품종 외에 무슨 부대 사업을 우리처럼 많이 하는지 모르겠다.설혹 있다한들 데코레이션에 지나지 않는다.우리처럼 어린이박물관 따로 만들어 실상 탁아사업하고 이른바 문화강좌니 해서 온갖 프로그램 잔뜩 돌리며 각종 공연장 맹글어 일년 내내 공연돌리는 일 하지 않는다. 아니 한다 해도 그것이 우리처럼 메인디시는 아니다.잘나가는 음식점은 단품종이다.아예 품목 한 가지만 있기도 하고 여러 품목이라도 그 메인디시의 찌께다시일 뿐이다.잘 안되는 음식점일수록 관련도 없는 품목만 많다.왜? 그만큼 절박하기 때문 아니겠는가? 어떡하면 살아남겠다는 몸부림 아니겠는가?한데 한국 박물관은? 국립박물관까지 모조리 부림치는 다품종 식당이다.어.. 2024. 8. 1.
반응형